UNIST
UNIST
image

UNIST·표과연, AI로 원전 지진 예측

▲[연구그림] 기존의 물리적 센서 기반 모니터링 기술(좌)과 인공 지능 기반 가상 센서를 이용한 기술(우) 단일 센서로 139개 지점 진동 예측…AI로 원전 점검 효율·안전성 동시 확보 원자력발전소의 지진 피해를..

2025.10.01by 김다슬 기자

image

AI로 하루 1천회 화학실험 문제 없어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   UNIST, AI·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 플랫폼 개발 인공지능(AI) 및 로봇을 이용해 하루 1,000회의 화학 실험도 가능한 플랫폼이 개발돼 향후 신약 및 신소재 개발 가속화가 기대된다. ..

2025.09.25by 배종인 기자

image

고속 충전에도 배터리 수명 저하 없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음극(중앙)의 구조과 리튬 순차 삽입 개념도   UNIST, 흑연과 곡면 나노그래핀 결합 하이브리드 음극 소재 개발 전기차와 스마트폰의 고속 충전이 일상화되면서 배터리 수명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

2025.09.24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체온으로 전자기기 구동 가능한 고체 열갈바닉 전지 세계 최초 개발

▲고체 열갈바닉 전지 16개를 연결해 상용 전자기기 구동에 성공했다.   1.5V 전압 구현, LED 조명·전자시계·온습도 센서 등 실제 작동 체온으로 전자기기를 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웨어러블 기기 및..

2025.08.20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세계 최초 교자성체 기반 메모리 소자 개발…AI 반도체 실현에 한 걸음

▲연구진 사진   AI 반도체 저전력·고속 특성 구현 위한 혁신적 기술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저전력·고속 연산이 가능한 AI 메모리 반도체 실현을 위한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교자성체(RuO₂..

2025.07.04by 배종인 기자

image

인공나뭇잎 상용화 ‘성큼’

▲이번 연구를 주도한 연구진. (우측부터)이재성 교수, 다르메시 한소라 박사(제1저자), 노은서 연구원(제1저자), 라시미 메로트라 박사(제1저자), 장지욱 교수, 변우진 박사   UNIST, 11.2% 효율 모듈형 인공광합성 장치 개발 ..

2025.06.23by 배종인 기자

image

휴대폰 보호필름이 발전소로 도약

▲양창덕 교수, 양상진 연구원, 조용준 박사, 쉬에시앙 황 박사, 김원준 연구원   UNIST, 적외선 선택 흡수 반투명 유기태양전지 개발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가 탄생해 스마트 도시와 친환경 에너지 시..

2025.06.16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MS 365 코파일럿 도입 대학 특화 AI 플랫폼 구축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AI 디지털 전환’ 맞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전면 도입해 대학에 특화된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으로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한..

2025.06.12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385억 규모 기후변화 대응 연구 사업 수주

▲(왼쪽부터)이명인, 차동현, 임정호 교수   국가기후예측·AI 기상정보·위성데이터 활용 기술 개발 추진 UNIST(총장 박종래)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기후 예측, AI 기상정보, 위성데이터 활용 기술 ..

2025.05.28by 배종인 기자

image

AI와 자동화 기술 결합으로 신소재 개발 빨라진다

▲(우측부터)최원영 교수, 정성엽 연구원, 남주한 박사, 조은찬 연구원, 오현철 교수 등 연구진   UNIST·KIST, 데이터 기반 구조 예측 ZIF 3종 합성 데이터 기반 신소재 개발 방법론이 실험적으로 입증돼, 인공지능..

2025.04.25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