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손실’로 검색하여 41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인피니언, 최저 손실을 제공하는 IGBT 프리휠링 다이오드 제품군 출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최신 IGBT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다이오드 제품군 Infineon Prime Soft를 출시했다. 이 다이오드 제품군은 턴오프 능력을 5kA/µs로 높인 것이 특징이다. Prime Soft는 모노리딕 실리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IGCT 프리휠링 다이오드 제품군을 토대로 해서 개발되었다.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2018.04.24by 김지혜 기자

온세미컨덕터, 전력밀도는 높이고 비용은 낮춘 SiC 다이오드 제품군 공개

온세미컨덕터가 새로운 650V 실리콘 카바이드(SiC) 쇼트키(Schottky) 다이오드 제품군을 공개하며 자사의 SiC 다이오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 다이오드에 접목된 실리콘 카바이드 기술은 전력 손실이 적고 소자간 병렬화가 수월한 스위칭 기능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가 새롭게 출시한 650V SiC 다이오드 제품군은 6A(암페어)에서 5..

2018.02.28by 김학준 기자

LG전자-한국전력공사, 효율 높고 전력 손실 없이 사용하는 DC 가전 상용화 협력

LG전자가 한국전력공사와 손잡고 DC(Direct Current; 직류)방식의 배전에서 전력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 개발에 앞장서며 친환경 에너지 시대에 적극 대응한다. LG전자와 한국전력공사는 경상남도 창원시 LG전자 창원R&D센터에서 한국전력공사 김시호 부사장, LG전자 H&A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DC전력 공급..

2017.12.01by 김지혜 기자

ADI, 입력 전력의 우선 공급 순위 정하는 프리오리타이저 출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2.5V ~ 40V 시스템용 듀얼 입력 전력 프리오리타이저(prioritizer, 전력 우선 공급 순위 설정) 신제품 LTC4418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전자 시스템들은 휴대가 가능하고, 전압 감소(brownout) 동안 메모리를 보존하며, 전력 손실 시 적절한 셧다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백업 전력용으로 배터리와 커패..

2017.09.15by 김지혜 기자

인피니언, 차체 제어와 전원 분배하는 차량용 IC 출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새로운 전력 IC 제조 기술 SMART7은 차체제어모듈 (Body Control Module) 및 전원분배센터(Power Distribution Center)와 같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되었다. SMART7 기술 기반의 전력 IC는 자동차 히터, 전원 분배, 에어컨, 내/외장 조명, 좌석 및 미러 조절과 같은 애플리..

2017.07.05by 김지혜 기자

맥심 “히말라야 시리즈로 전력 솔루션의 열은 낮추고 효율은 높였다”

최대한 많은 기능을 구현하면서 작게 만들 것. 여기에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IC나모듈 설계 엔지니어의 고민이다. 문제는 작은 공간에 여러 기능을 넣다보면 필연적으로 높은 온도를 발생시키고,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 이처럼 제한된 공간에서 전력 손실, 열 문제, 안전 표준 규정을 염두해야하는 엔지니어에게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2017.07.03by 김지혜 기자

[인터뷰] “RF 샘플링 채택한 고속 ADC로 크기와 전력 손실 대폭 줄여”

고 대역 통신 시스템을 만족시키기 위한 데이터 속도 및 대역폭 요구가 커지면서, 빠른 RF 샘플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빠르고 왜곡 없는 RF 샘플링을 위해서는 많은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RF 수신기에서는 RF 주파수를 IF 대역으로 다운 컨버전하기 위해 믹서(Mixer)단을 거쳐야 한다는 점과 직교 ..

2017.06.23by 김자영 기자

맥심, 전력 손실 줄이고 공장 자동화 지원하는 트랜시버 발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듀얼 채널 IO-링크 마스터 트랜시버 ‘MAX14819’를 출시했다. MAX14819는 전력 손실을 50%까지 줄여 인더스트리 4.0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지원한다. 맥심의 첨단 공장 자동화 포트폴리오는 기업의 인더스트리 4.0 경쟁력을 높여준다. MAX14819는 온-저항(on-resistance)과 공급 전류를 낮추고..

2017.06.20by 김지혜 기자

로옴, 백색가전 모터 구동에 최적인 MOSFET 출시

로옴 (ROHM)은 저소비전력화가 요구되는 백색가전 및 산업기기 등의 모터 구동에 최적인 고속 trr※1 타입 600V Super Junction MOSFET PrestoMOS (프레스토모스) TM 라인업에 ?R60xxMNx 시리즈」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번에 개발한 ?R60xxMNx 시리즈」는 로옴의 독자적인 칩 구조를 통해 최적화함으로써, P..

2017.05.29by 김지혜 기자

[Tech tip!] 전력 스케일링과 시퀀싱, 아날로그로 구현하기

전원 시퀀싱은 모든 설계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특히 여러 전원 레일을 활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FPGA, ASIC, PLD, DSP, ADC,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현대의 고성능 프로세싱 디바이스에는 코어, 메모리, I/O와 같은 내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 전압레일이 있어야 한다.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더 높은 효율을 내기 ..

2017.05.19by 김지혜 기자

맥심, 국제전기표준회의 준수하는 스텝다운 DC-DC 컨버터 출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는 맥심 히말라야 동기식 스텝다운 DC-DC 컨버터 ‘MAX17572’와 ‘MAX17574’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국제전기표준회의(IEC) 및 안전무결성기준(SIL)을 준수해 장기적인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시스템 설계자는 고효율 컨버터를 이용해 경쟁 솔루션 대비 전력 손실은 40%, 솔루션 크기는 50%까지 줄..

2017.05.18by 김지혜 기자

세계 1% 점유율의 국내 파워반도체, 10%로 끌어올릴 수 있을까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7년간 836억 여 원을 투입해 파워 반도체 연구개발(564억 원) 분야와 연구플랫폼 구축(272억 원) 분야의 상용화 사업을 진행한다. 전력을 처리하거나 조정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핵심 반도체의 하나인 파워 반도체는 특히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을 강조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17.04.04by 김지혜 기자

맥심, 초저전력 고성능 MCU로 메디컬 웨어러블 설계 간소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고성능 메디컬?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 설계를 간소화하는 ARM 코텍스(Cortex)-M4F 마이크로컨트롤러(MCU) ‘MAX32630’과 ‘MAX32631’을 발표했다. 웰빙 및 의료용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웨어러블 기기 내부 전자 부품에 요구되는 항목도 복잡하고 새로워졌다. 내부 전..

2016.11.16by 김수지 기자

리니어, 38V 입력 동기식 부스트 컨트롤러 출시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최대 150°C의 온도에서 동작을 보장하는 동기식 스텝업 DC/DC 컨트롤러의 H 등급 버전(제품명: LTC3786)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TC3786 은 효율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낮추기 위해 부스트 다이오드 대신에 N 채널 MOSFET을 사용한다. 98%의 변환효율을 제공하는 이 컨트롤러는 12V 입력..

2016.11.09by 김수지 기자

리니어, 백업 배터리 스위치오버 솔루션 제공하는 Prioritizer 출시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은 1.8V ~ 18V 시스템용 듀얼 입력 모놀리식(monolithic) 전력 prioritizer(제품명: LTC442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전자 시스템들은 휴대가 가능하고, 전압 감소(brownout) 동안 메모리를 보존하며, 전력 손실 시 적절한 셧다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백업 전원용으로 배..

2016.09.02by 홍보라 기자

TI, 최저 저항을 달성하는 60V N-채널 전력 MOSFET 출시

TI (대표이사 켄트 전)는 업계 최저 저항을 달성하는 새로운 60V N 채널 FemtoFET 전력 트랜지스터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 CSD18541F5은 기존의 60V 부하 스위치보다 90% 낮은 저항을 달성함으로써 최종 시스템의 전력 손실을 줄여준다. 또한, 극소형의 1.53mm x 0.77mm 실리콘 기반 패키지로 제공되어, SOT-..

2016.06.23by 편집부

리니어, 고전력 네거티브 전원의 다이오드OR 컨트롤러 출시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듀얼 피드(dual feed) 고전력 텔레콤 및 데이터콤 보드를 위한 매우 완벽한 다이오드OR 컨트롤러(제품명: LTC4371)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TC4371은 리던던트 전원 공급장치 간 완벽한 핸드오프를 제공하며, 파워 쇼트키(Schottky) 다이오드와 관련된 히트 싱크를 N채널 MOSFET으로 대체하여, 전력 손실, 전..

2016.03.18

전류 센서 통합의 브러시드 DC 모터 드라이버

전류 센서를 통합한 브러시드 DC 게이트 드라이버 제품 3종을 TI가 출시하였다. 전류 센서가 통합된 DRV8871을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센서 저항 사용에 따른 전력 손실과 열 발생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015.10.30

TI, 전력 최적화 지원하는 디지털 파워 칩셋 발표

이 칩셋은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차세대 AC/DC 및 절연 DC/DC 전원공급 장치의 2차측 동기식 정류를 최적화한다. UCD3138A 디지털 컨트롤러 및 UCD7138 로우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는 다른 디지털 파워 솔루션에 비해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동기식 정류 MOSFET 전압 스트레스는 반감시켜 준다. 동기식 정류기에서 데드 타임을 정확..

2015.06.23by 편집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