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에 시작한 국산 CPU 개발 1기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 지난 19일 ‘국산 CPU코어 상용화 사업’의 성과를 소개하는 제2회 국산 CPU코어 로드쇼’가 열렸다. 1년간 어떤 코어를 새로 개발했고 어떤 성과가 있었을까.
하상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시스템·소재 산업기술본부장은 “국산 CPU개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여전히 남아있지만, 여러 기관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라며 “초연결 지능화가 이뤄지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에서 ‘Things’에 해당하는 상품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용호 지능형반도체추진단장은 “국산 CPU가 여러 방면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개발해야 한다.”고 전했다.
국산 CPU코어 로드쇼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에이디칩스의 ARK(emCore의 변경된 명칭),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알데바란(Aldebaran),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MENSA 코어가 소개되었다. 코어를 활용한 SoC개발 사례로는 한컴지엠디의 저전력 모바일 헬스케어(ARK), 에스앤에이의 도전 방지 및 보안 강화형 스마트미터(알데바란), 엠텍비젼의 음파 데이터 통신 기능 내장 음성인식(MENSA) 등을 소개하며 국산 CPU를 사용하며 겪은 장단점을 언급했다.
2017-05-22 15:03:29by 김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