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Microchip 0724
murata

전체기사 2,277건

  • 인피니언, 5GAA 가입해 자율주행차 주요기술 제공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자동차 5G 표준 도입 기여를 위해 5GAA(5G 자동차협회)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이 협회는 커넥티드 자율주행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통신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피니언은 5G, 자율 주행 자동차..

    2017.04.18by 김자영 기자

  • [기획-자율주행차②] '플레이어' 많아지는 레이더용 IC 시장, 반도체사들 경쟁 뜨거워지나

    꿈이 현실이 됐다, 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기술이 있다면 바로 그것은 자율주행 자동차일 것이다. 자동차를 부르면 알아서 달려오고, 또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한다. 자율차는 주행 중 장애물을 인식해 피하고 주인에게 각종 편의와 정보를 제공한다. 완전 자율주행차의 상..

    2017.04.17by 신윤오 기자

  • "센서 데이터 통합관리하는 설계 플랫폼으로 완전 자율주행차 실현할 것"

    리눅스, AUTOSAR 등 그동안 오토모티브 분야의 탁월한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과시했던 멘토(지멘스비즈니스)가 이번에 자체 개발한 아키텍처가 적용된 하드웨어 플랫폼을 선보이면서, 자율주행차 시장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자율 주행 자동차 설계 플랫폼인 ‘DRS3..

    2017.04.13by 신윤오 기자

  • 오토로드와 ST, 자동차 레이더 솔루션 공개

    오토로드 테크놀로지(Autoroad Technology)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근 중국 충칭에서 개최된 국제 자동차 기술 엑스포(International Automotive Technology Expo)에서 자동차 레이더 솔루션을 공동으로 전시했다...

    2017.04.13by 김지혜 기자

  • 엔비디아 그리드, 혼다 차량 설계용 데스크톱 가상화 인프라에 적용

    엔비디아가 엔비디아 그리드와 테슬라 M60이 혼다의 그래픽 가속화 데스크톱 가상화 인프라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혼다의 R&D 부문을 물리적인 워크스테이션에서 이동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새로운 차량 설계 플랫폼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엔비디아 그리드 ..

    2017.04.13by 김자영 기자

  • [인터뷰] 국내 라이다 기술, 다채널 360도 스캔까지 가능해

    자율주행에 있어서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 센서이다. 그 중에서도 라이다(LIDAR)는 자율주행차의 ‘눈’이라고 불리며 레이더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커버할 수 있는 센서로 자동차가 부분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레벨 3를 상용화하려면 가격을 낮춰야 하는..

    2017.04.12by 김지혜 기자

  • [기자 수첩] '우버'가 꿈꾸는 세상과 우리가 꿈만 꾸는 세상

    우버는 몇 년 전부터 자율주행 시장으로 움직이기 위해 내부적으로 인력 영입 및 기술 업체에 투자해 왔으며 외부적으로는 구글, 애플, 아우디, BMW, 다임러 등 경쟁사들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인 지도까지 구축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5년 3월 프랑스 지도제작업체(de..

    2017.04.10by 신윤오 기자

  • [기획-자율주행차①] 국내기술 ‘나 혼자 못 산다’ 전략적 협업 생태계 구축해야

    지난주 막을 내린 2017 서울모터쇼에서 가장 눈에 띤 점은 국내 대표적인 IT기업인 네이버(NAVER)가 처음 참여했다는 점이다. 이미 IT기업의 자동차 개발은 낯선 모습이 아닌 일이 됐지만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쇼에, 국내 대표적인 IT기업이 등장한 것은 자동차 분야..

    2017.04.10by 김지혜 기자

  • 61만여 명 방문한 2017 서울모터쇼 막 내리다

    지난 3월 31일부터 10일간 킨텍스에서 ‘미래를 그리다, 현재를 즐기다’를 주제로 열린 2017서울모터쇼가 막을 내렸다. 2017서울모터쇼는 총 27개 완성차 브랜드에서 300여대의 자동차를 출품하고 완성차 이외 부품·IT·용품·튜닝 및 캠핑·서비스 등 관련..

    2017.04.10by 김자영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