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Infineon_
Microchip 0724

전체기사 2,277건

  • 자율차, 드론, 헬스케어…결국 핵심은 '스마트센서' 개발 어디까지 왔나

    미래자동차, 헬스케어, 스마트공장, 로봇, 드론 등의 미래전략산업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른바 ‘스마트센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스마트센서는 센서에 지능을 부여한 센서로 IT 융합 시대의 지능형 첨단 센서를 말하며 센서 종류와 사용 개체가 많아지..

    2016.10.10by 신윤오 기자

  • SK텔레콤, V2X 기술 적용한 자율주행차 시연에 성공해

    SK텔레콤이 서울대가 연구 중인 자율주행차량 ‘스누버(SNUver)’에 통신사 처음으로 차량통신(V2X)을 적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공개했다. SK텔레콤과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IVIT연구센터?센터장 서승우 교수)는 차량통신 및 영상인식으로 자율주행..

    2016.10.07by 신윤오 기자

  • NXP, 고신뢰성 SBC 시리즈 확대로 차량 전장 시스템 기능 안전 강화해

    NXP반도체는 최신 시스템 기반 칩(SBC: System Basis Chip)인 FS45 및 FS65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 제품들은 시스템 수준의 높은 신뢰성을 갖춘 기능 안전을 제공하며, 동시에 전반적인 전력 소모는 줄여 준다. 새롭게 선보이는 SBC..

    2016.10.07by 신윤오 기자

  • 전용 주파수 공급으로 V2X 자율주행차 시대 앞당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립전파연구원은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통신용 주파수 공급 및 기술기준 마련을 완료한다. 이번 주파수 공급과 기술기준 마련은 자율주행자동차 본격 확산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신산업 투자 관련 네거티브 규제 개선을 위하여 지난 3월부터 운영 중인..

    2016.10.04by 신윤오 기자

  • 향후 5년간 커넥티드 카 5배 증가,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 열어

    가트너(Gartner Inc.)에서 최근 발표한 전망에 따르면, 자동차 시장에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내장형 커뮤니케이션 모듈이나 휴대용 기기 연결을 통해 데이터 통신 기능(data connectivity)을 갖..

    2016.10.04by 신윤오 기자

  • 텍트로닉스, Aurora 자동 파일기반 품질 관리 솔루션에 기능 추가

    텍트로닉스는 콘텐츠 제작, 편집, 배포 업체들과 방송국 관계자들이 현재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비디오 콘텐츠의 양을 효율적으로 테스트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텍트로닉스 Aurora 자동 파일 기반 품질 관리(QC) 솔루션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다. ..

    2016.09.29by 홍보라 기자

  • NXP, 최대 3배 빠른 차량용 15W 무선 충전 솔루션 개발

    NXP반도체는 엄격한 차량용 및 산업용 제품 기준을 충족하는 혁신적인 15W 무선 충전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WPC Qi 및 PMA 충전 표준과 호환되는 이 기술은 차량 제조사가 기존 5W에서 15W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적인 솔루션이다. 이로써..

    2016.09.29by 신윤오 기자

  • LG유플러스, 쌍용자동차 테크 마힌드라와 커넥티드 카 사업 협력

    LG유플러스는 쌍용자동차, 인도 마힌드라 그룹의 IT 전문 계열사 테크 마힌드라와 LTE 기반의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사업을 협력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사는 차량에 LTE 통신 모뎀을 내장해 운전자에게 안전?보안 및 인포테인먼트..

    2016.09.27by 신윤오 기자

  • 자율주행차 시대 앞당기나, ARM Cortex-R52 프로세서 공개

    ARM은 자율주행 자동차와 의료, 산업용 로봇을 위해 한층 더 향상된 안전성 기능을 갖춘 새로운 리얼타임 프로세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RM Cortex-R52는 자동차와 산업용 업계에서 가장 엄격한 안전 표준인 ISO 26262 ASIL D 및 IEC 615..

    2016.09.21by 김수지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