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전체기사 155건
  • 국회 AI 포럼 출범...“韓 독자적인 AI 개발 위한 AI 입법 시급”

    2024.06.26by 김예지 기자

    또한 AI 관련 법안이 12건이 발의됐지만 입법은 0건으로, 규제 자체가 없는 탓에 불확실성이 산업 성장을 가로막기 때문에 규제 범위를 명확히 한 AI 기본법을 도입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라인야후 사태, “日 IT 기술 침탈 시도...AI 데이터 주권 침해 우려”

    2024.06.25by 김예지 기자

    글로벌 초거대 AI 개발이 치열한 가운데, 라인야후 사태로 우리나라 AI 데이터 주권이 침해당해 라인을 통해 축적해 온 고품질 데이터가 일본에 넘어갈 위기에 당면하고 있다. 이에 네이버 노조를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은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 매각 현실화를 반대함과 동시에 ..

  • “AI 두뇌 가진 냉장고·TV”…삼성전자 가전에 LLM 탑재하나

    2024.06.21by 김예지 기자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5년 온디바이스 LLM(거대언어모델)을 도입한 가전 출시를 목표한다. 가전에 적용된 온디바이스 AI는 기기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기 때문에 수행이 빠르고 보안을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빅스비 음성 지원에..

  •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④] 점점 빨라지고, 서로 연결되는 21세기 통신

    2024.06.14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

  •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③] 세계 최초 휴대전화, 부의 상징이었던 벽돌폰

    2024.05.31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

  •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②] 해방 전후 전기통신, 잿더미 속에서 일군 성과

    2024.05.17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

  • “산업 데이터 상호 운용성 확보 必”

    2024.05.16by 김예지 기자

    1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된 산업데이터 퓨처콘 2024에서 산업 데이터 국제표준화위원회 컨퍼런스와 첨단제조 표준화 포럼이 동시 개최됐다. 포럼에서는 글로벌 데이터 표준화 동향 및 연구 방안에 대한 논의와 토론이 진행됐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