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Dabo_Webinar
Infineon 0617

전체기사 2,238건

  • 도시바, '5A 2채널' H-브리지 모터 드라이버 2종 공개

    자동차 밸브에 사용되는 H-브릿지 모터 드라이버의 수가 늘고 있다. 또한, 2022년에 OBD II가 의무화되면서 이제 자동차 모터 드라이버 IC는 SPI 통신 기능도 갖춰야 한다. 이에 도시바가 전자식 스로틀을 포함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적합한 브러시드 DC 모..

    2020.12.12by 명세환 기자

  • KETI, 실감성 높인 차량 인포테인먼트 AR HUD 개발

    KETI가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용 HUD 기술의 실감성을 높인 AR HUD 기술을 개발했다.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한 AR HUD 기술은 HOE 필름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유리창을 통해 도로나 주변 지형지물에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실감성 높은 광시야각 ..

    2020.12.08by 명세환 기자

  • ​로옴, 中 상하이 UAES 본사에 SiC 공동 실험실 개설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 부품은 IGBT 등 실리콘(Si) 제품 대비 스위칭 및 도통 손실이 적고, 온도 변화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어 전기차를 비롯하여, 인프라, 환경,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채용이 추진되고 있다. 로옴은 중국의 종합 자동차기기 티어1 메이커 UA..

    2020.12.08by 명세환 기자

  • 자율주행 안전성 높이는 객체 인식 기술, "어디까지 왔나?"

    자율주행차량은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등의 센서가 요구된다. 자율주행차량에 탑재된 객체 인식 AI 모델은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다수의 센서가 전달한 정보를 해석하여 주변 객체를 인지하고 방향과 구동을 결정한다. 객체 인식은 어느 분야든 레이블 된 데이터셋을 필요로 하지..

    2020.12.07by 이수민 기자

  • 과기정통부, '한국판 뉴딜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에 17.5조 투입한다

    과기정통부가 총 17조5,154억 원 규모의 2021년도 예산안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이는 2020년보다 1조2,086억 원 증액된 규모로, 한국판 뉴딜, 기초·원천 연구개발, 3대 신산업 육성, 포용 사회 실현, 감염병 대응을 위해 확대됐다. 정부 R&D 예산은 2..

    2020.12.03by 이수민 기자

  • 생기원, 화재 위험 낮춘 고출력 '전고체전지' 소재 개발

    상용 리튬이온전지는 인화성이 높은 액체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과열되거나 손상될 때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반면 고체전해질 기반의 전고체전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 및 폭발 사고 우려가 없다. 이에 생기원은 산화물계 전고체전지의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해 안전하면..

    2020.11.27by 이수민 기자

  • EV 품질, "배터리 활성화·테스트 공정" 효율화에 달려

    EV 보급이 궤도에 올라섰다. 2025년에는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 중 배터리 구동 자동차의 비중이 10%가 될 전망이다. 고성능 배터리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다. 배터리는 EV 가격의 약 40%를 차지한다. 배터리 제조 마무리 공정인 활성화 및 테스트 공정은 배터리 ..

    2020.11.26by 이수민 기자

  •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세미나,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며 2025년에는 전 세계 전기차 대수가 2,200만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전고체전지,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엔지니어들은 이제 산적한 전기차 배터리 문제에 대한 대처 능력을 키워야 한다. 마이스포럼은 12월 17일(목..

    2020.11.26by 명세환 기자

  • CEVA DSP, 르네사스 차세대 차량용 SoC에 채택

    CEVA가 자사의 고성능 DSP 솔루션이 르네사스 사의 차세대 차량용 SoC에 탑재된다고 밝혔다. 차량 제조사들은 안전하면서 자동화된 운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더 많은 카메라와 레이더, 기타 센서들을 채택하고 있다. 능동 안전 및 자율주행 기능에서 DSP는 차..

    2020.11.25by 명세환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