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Microchip 0724
murata

전체기사 2,276건

  • [외신 브리핑] 디즈니의 '매직벤치', 알렉사 서포트하는 '라이프봇' 外

    디즈니리서치는 3D 공간에서 움직이는 캐릭터와 소통할 수 있는 매직 벤치를 개발했다. 화면에 코끼리와 개구리, 기린 등 캐릭터가 등장해 벤치 위에서 쿵쿵 뛰거나 벤치를 발로 차고 사라지고. 옆에 앉아 코를 골며 잠을 자고, 비가 내릴 때 다가와 우산을 건네기도 한다. ..

    2017.07.31by 김자영 기자

  • LG전자 2분기 실적, 모바일 부진에도 프리미엄 TV 덕에 매출 상승

    LG전자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4조 5,514억 원, 영업이익 6,64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 13.6% 증가했다. 2분기 사업본부별 실적을 보면,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 Air S..

    2017.07.28by 신윤오 기자

  • 마이크로칩, 차량 인포테인먼트 기술 적용된 INIC 5천만개 돌파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자사의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기술이 적용된 50Mbps 지능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INIC) 제품 출하량이 5천만 개..

    2017.07.27by 김지혜 기자

  • 반도체까지 확대되는 ISO26262 2nd, 국내 대응에 고심

    내년 5월 정식 발표되는 ISO26262 2nd를 국내 반도체 업체에 적극 알리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2차 개정판은 반도체 분야까지 적용범위가 확대돼 자동차 업계의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26일 양재 엘타워에서 한국반도체산업협괴가 주관하고 국가기술표준원이..

    2017.07.27by 김지혜 기자

  • [이슈] 올 10월 문 여는 자율주행차 주행시험장, 어떻게 운영되나

    2019년까지 자율주행 기술 레벨3를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국내 최대규모 주행시험장 ‘K-CITY’가 10월에 1차 오픈을 한다. 올해 5월까지 전국에 임시운행 허가된 자율주행차량은 총 19대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이 전국을 누비지만, 돌발상황에 따..

    2017.07.25by 김자영 기자

  • [기고] 유연한 ADAS 레이더 센서 설계 어떻게 하나

    TI의 AWR1x 밀리미터파(mmWave) 센서 포트폴리오는 개발자가 보다 안전하고 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mmWave 센싱 아키텍처(그림 2)를 기반으로 하는 AWR1x 센서는 무선주파수(RF) 및 아날로그 기능과 디지털 제어 기능을 단 하나의 칩에 통합시키고..

    2017.07.20by 편집부

  • SKT, 자율주행차 시험 주행 나선다

    SK텔레콤은 국내 통신사 최초로 국토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로써 SK텔레콤 자율주행차는 이달부터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 마련된 테스트 트랙은 물론 일반 도로에서도 시험 주행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

    2017.07.19by 김지혜 기자

  • [오토모티브 영상취재] NXP, 세가지를 하나로 합친 레이더 전용 칩셋 선보여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주최로 지난 5일 열린,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데이 2017에 참가한 NXP는 레이더 전용 칩셋으로 구현하는 차량용 레이더 솔루션 데모를 시연했다. 일명 돌핀이라고 불리는 ‘TEF810X’는 초소형 시스템 설계를 위해 RFCMOS 기술을 사..

    2017.07.17by 김지혜 기자

  • [오토모티브 영상취재] 웨스턴디지털, 오토모티브 환경에 최적화한 스토리지 공개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주최로 지난 5일 열린,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데이 2017에 참여한 웨스턴디지털은 오토모티브 임베디드 스토리지 솔루션을 소개했다. ‘iNAND 7250A’는 오토모티브 시장에서 요구하는 안정성, 극한의 온도, 물리적인 충격 등의 테스트를 ..

    2017.07.17by 김지혜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