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 4.0
Microchip 0724
st 0710

전체기사 2,510건

  • LS전선, 전송 거리 한계 200m로 늘린 케이블 출시

    LS전선이 데이터와 전력을 200m까지 동시에 보낼 수 있는 랜(LAN) 케이블인 심플와이드를 출시했다. 심플와이드는 IP 카메라와 전화, CCTV, IoT 장비 등을 연결하는 데 사용한다. 별도의 전원 케이블과 콘센트 등이 필요 없고 천장과 틈새 공간 등 전원을 설치..

    2020.07.21by 이수민 기자

  • 머신 비전 도입 가속하는 에이디링크 AI 스마트 카메라

    에이디링크가 제조 현장의 머신 비전 도입을 가속하는 NEON-2000-JT2 AI 스마트 카메라 시리즈를 출시했다. 엔비디아 젯슨 TX2 AI 모듈로 구동되는 이 스마트 카메라 시리즈는 AI 머신 비전 개발 및 통합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올인원 디자인, 작은 설치 공..

    2020.07.21by 이수민 기자

  • TSN 규격이 어떻게 인더스트리 4.0을 가속하나?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은 일련의 IEEE 이더넷 표준들로서, 인더스트리 4.0이 약속하는 것들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TSN을 도입함으로써 공장 현장과 서버, 본사, 그 사이의 모든 곳을 포함한 기업 조직 전체에 걸쳐서 모든 데이터가 공존하고 통신할..

    2020.07.21by 이수민 기자

  • IoT 솔루션을 인터넷에 연결할 때 필요한 6가지 기술

    IoT 솔루션은 수백 개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커넥티드 에지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나 전력 관리 등 일반적인 설계상의 제약도 가중된다. 이 정도 규모에 이르게 되면 인터넷 연결 방식 자체가 해당 제품의 성패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

    2020.07.17by 이수민 기자

  • ST, IoT 노드 개발 과정 간소화하는 개발 킷 공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IoT 노드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는 STM32 디스커버리 킷 B-L4S5I-IOT01A를 출시했다. 해당 키트는 품질 인증을 받은 FreeRTOS 포트를 지원하고, STM32Cube 에코시스템에 완벽하게 통합되며, AWS에 바로 연결할 수 있다..

    2020.07.17by 강정규 기자

  • SKT-한국수자원공사, IoT 기반 스마트 물관리에 맞손

    SK텔레콤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스마트 상수도 운영관리 사업 협력 및 수도 데이터 기반의 물 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 상수도 관리를 위한 IoT 인프라 지원, 수자원 관리시스템 고도화, 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돌봄 실증 ..

    2020.07.16by 이수민 기자

  • 힐셔, M.2 포맷의 'cifX' 다중 프로토콜 PC 카드 출시

    힐셔는 15일, M.2 2230 포맷의 cifX 소형 다중 프로토콜 PC 카드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실시간 이더넷 및 필드버스 프로토콜을 위한 M.2 2230 Key A+E 포맷의 cifX 카드는 기존 혹은 신규 장치를 산업용 자동화 네트워크와 즉시 연결해주는 기..

    2020.07.16by 이수민 기자

  • KT, 기업용 5G 망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 적용 성공

    KT가 5G 기업 망 슬라이스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 서비스로 출시하기 위한 기술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5G 기업 망 슬라이스는 하나의 물리적 5G 네트워크를 독립된 다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해 이를 필요에 맞게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5G 핵심 기술인 네트워크 ..

    2020.07.15by 강정규 기자

  • 모싸, 제조설비 OT 시스템 보호하는 보안 솔루션 발표

    OT와 IT 간의 상호 연결이 증가하면서 공격에 취약한 영역 또한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격리됐던 산업용 네트워크를 겨냥한 사이버 위협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모싸는 OT 시스템을 예방적으로 보호하는 산업용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출시했다.

    2020.07.14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