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Infineon 0617
Dabo_Webinar

전체기사 2,690건

  • SKT-SBS, 5G 기반 뉴미디어 사업 개발 MOU

    SK텔레콤과 SBS가 5G를 기반으로 다양한 뉴미디어 사업을 함께 개발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앞으로 5G를 기반으로 뉴미디어 영역에서 다양한 신규 솔루션 및 사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과 SBS는 우선 5G 기술을 활용한 생중계 시스템을 공동..

    2019.05.01by 이수민 기자

  • KT, 일반 망에서 '기업내부 망 분리한' 기업전용 5G 서비스 선보여 "스마트팩토리 확산 기대"

    KT가 B2B 전용 5G 서비스인 ‘기업전용 5G’ 서비스를 선보였다. 기업전용 5G는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일반 네트워크와 기업내부 망을 분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기업전용 5G 전용 게이트웨이를 통해 개인 가입자를 위한 일반 통신망과 임직원..

    2019.05.01by 이수민 기자

  • 5월 1일부터 버스에서도 와이파이 터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1일부터 16개 지자체와 함께 전국 시내버스 4,200대에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기존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전통시장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 이동시 이용할 수 없어 국대중교통 시설까지 ..

    2019.04.30by 이수민 기자

  • SK텔레콤, 인천 송도에 '5G 기반 스마트시티' 만든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센터장과 IFEZ 김진용 청장이 인천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5G 기반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5G 기반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및 관련 산업 육성, IFEZ ‘스타트업 벤처폴리스’..

    2019.04.29by 이수민 기자

  • KT 5G 이노베이션센터, 글로벌 5G 리더십 전파

    KT와 삼성전자가 서울 서초구 KT 양재빌딩에 5G 이노베이션센터를 열었다. 5G 이노베이션센터에는 국내에서 5G 상용서비스 중인 삼성전자의 3.5㎓ 5G 장비와 갤럭시 S10 5G 단말을 비롯해 현재 개발 중인 28㎓ 장비·기술까지 선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KT와 삼..

    2019.04.27by 이수민 기자

  • "5G 커버리지 현황 제공 의무화된다" 첫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 회의 열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가 참여하는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 모두 국민의 5G 서비스 이용 관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선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했다. 그..

    2019.04.24by 이수민 기자

  • LG U+, 교육 서비스에 5G 기술 접목한다

    에듀테크는 교육과 기술이 결합된 용어로, 5G를 비롯해 빅데이터, AI 등 ICT를 활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 LG유플러스는 아이스크림미디어, EBS와 손잡고 에듀테크 사업에 나선다. 3개사는 MOU를 체결하고, 실무협의단 구성 및 운영 등 세부적인 협력방안을 마..

    2019.04.24by 이수민 기자

  • 5G가 가져올 미래상 한눈에 볼 수 있는 "월드 IT 쇼 2019" 개최

    최신 정보통신 기술과 제품 및 서비스를 체험해볼 수 있는 월드 IT 쇼 2019가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 이노베이션을 주제로 5G 이동통신 기술과 이를 응용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등을 전시한다. SK텔레콤, KT, 현..

    2019.04.24by 이수민 기자

  • 5G 상용화 2주… 5G 때문에 LTE가 느려졌다?

    대한민국은 3일 오후 11시에 미국보다 2시간 빨리 세계 최초로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세계 최초가 세계 최고와 동의어는 아니다. 이용자들이 불만을 표시했다. 5G가 상용화되면서부터 LTE가 느려진 경험을 한 사람들을 도처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2019.04.22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