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7by 배종인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이 인공지능(AI) 기반 전주기 자동화 연구 시스템인 ‘오토노머스 랩(Autonomous Lab)’을 공개했다. 기존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리던 소재 실험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AI와 로봇의 협업으로 소재 자립화와 디지털 R&D 혁신을 본격화한다.
2025.06.18by 배종인 기자
초저전력 무선 연결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가 엣지 디바이스를 위한 완전 자동화된 TinyML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인 뉴튼.AI(Neuton.AI)의 핵심 기술 자산 및 IP(Intellectual Property)를 인수하며, 노르딕의 획기적인 nRF54L 시리즈가 뉴튼.AI의 자동화된 TinyML 플랫폼을 통해 사용이 편리하고, 매우 효율적인 엣지용 머신러닝 구현을 가속한다.
2025.06.13by 배종인 기자
AMD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현지 시간으로 12일 ‘2025 어드밴싱 AI(2025 Advancing AI)’를 개최하고 자사의 차세대 통합 AI 플랫폼과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AMD는 데이터 센터 및 HPC(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최신 Instinct GPU 제품군과 더불어, 인공지능 학습 및 추론 전반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통합 솔루션을 발표했다.
2025.06.12by 배종인 기자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스타트업 딥엑스(대표 김녹원)가 지능형 에지 소프트웨어 강자 윈드리버(Wind River)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초저전력 AI 반도체와 실시간 운영체제(RTOS)를 통합해 항공우주, 국방, 자동차, 로봇, 산업 자동화 등 고신뢰(High-Reliability) 산업을 겨냥한 차세대 엣지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2025.06.02by 배종인 기자
대구, 울산, 충북이 지역 특화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및 실증을 지원한 기업 혁신의 거점으로 선정되며, 지역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AI 및 HPC가 기술 트렌드를 주도하는 가운데 증가하는 데이터 센터 전력을 대응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로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이 주요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은 단순히 IT 인프라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넘어,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공랭식과 액랭식, 침수 냉각 등 다양한 냉각 방식이 활용될 것이며, 데이터센터 운영자들은 비용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냉각 솔루션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2025.05.28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박종래)가 기상청이 주관하는 385억원 규모의 대형 연구과제를 수주했다. 이번 연구사업은 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이명인, 차동현, 임정호 교수가 주도하며, 각기 다른 분야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최첨단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5.05.27by 배종인 기자
ECS텔레콤이 글로벌 AI 컨택센터 플랫폼 기업 브라이트패턴(Bright Pattern),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차세대 AI 컨택센터(AICC) 시장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노타는 5월20일부터 22일까지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2025 임베디드 비전 서밋(Embedded Vision Summit)’에 참가해 AI 모델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의 퀄컴 AI 허브(Qualcomm® AI Hub) 최적화를 발표하며 혁신적인 기술력을 입증했다.
2025.05.26by 배종인 기자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센터장은 지난 20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개최된 ‘AI 반도체 협업포럼’에서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산업 동향’에 대해 발표하며, “클라우드 AI는 소수 빅테크의 독점 구조이나 온디바이스 AI는 B2C 중심 다품종 시장으로 한국에 유리한 개방된 기회시장이다. NPU, AI SoC 등 온디바이스 AI 칩은 비메모리 시장에서 국내 팹리스가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유망 영역”이라고 밝혔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