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 4.0
st 0710
Microchip 0724

전체기사 2,510건

  • "중급기에서 AI 구현" Arm, ML 최적화 IP 4종 발표

    AI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급형 기기뿐만 아니라 자원이 한정적인 중급형 기기에도 머신 러닝을 적용하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Arm이 AI 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프로세서 IP 4종을 발표했다. Arm은 12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새..

    2019.11.12by 이수민 기자

  • 존슨콘트롤즈, 軍 에너지 복원 솔루션 개발 나서

    에너지 공급 중단은 군사 시설의 임무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국방부는 에너지 복원 기술을 통해 에너지 공급 중단을 대비 및 복구하고자 한다. 존슨콘트롤즈 코리아는 11일, 주한미군 시설 에너지 복원 솔루션 연구를 위해 한전산업개발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존..

    2019.11.12by 이수민 기자

  • 거대 플랜트 배전설비 관리, 효율적으로 하려면?

    세계 최대의 화학기업인 바스프의 보몬트 플랜트는 바스프 농업 부문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보몬트 플랜트의 생산 과정 전반에 걸쳐 전력을 공급하는 바스프의 새로운 변전소에 에코스트럭처 어셋 어드바이저 서비스를 구축했다. 에코스트럭처 어셋 어드바이저..

    2019.11.12by 이수민 기자

  • ​ADI의 mSure 기술, 엘가마 전력량계 설계에 채택

    ADI의 mSure 진단 기술은 다양한 유형의 전력량계 조작 수법들을 탐지할 수 있다. 리투아니아의 엘가마는 자사의 전력량계 설계에 mSure 기술을 적용한 새 전력량계를 2020년 말까지 출시한다고 밝혔다. 분석 서비스와 mSure를 연동하면 계량기 정확도를 직접 모..

    2019.11.08by 이수민 기자

  • KT, AI 기반 빌딩 에너지 관리 시범서비스 시작

    KT가 AI를 기반으로 중대형 빌딩의 에너지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가 에너지 매니저 빌딩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빌딩자동화시스템에 KT가 자체 개발한 AI 엔진 로보 오퍼레이터와 지능형 컨트롤러 이박스를 접목한 서비스다. 기가 에너지 매니저는 빌딩의 에너지..

    2019.11.08by 이수민 기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 원격 보안 모니터링 센터 오픈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서울에 원격 사이버 보안 모니터링 센터를 개소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원격 사이버 보안 모니터링 센터는 제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인가되지 않은 장비의 접속 및 악성코드의 침입, 비정상 활동이 감지될 때마다 고객에게 알림 메시지를 ..

    2019.11.04by 이수민 기자

  • 부산항, 올해 말부터 5G 스마트항만으로 진화한다

    LG유플러스, 부산항만공사,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 서호전기, 고등기술연구원과 ‘5G 기반 스마트항만 크레인 자동화 사업협력’ MOU를 체결했다. 각 협력 주체는 이번 MOU를 통해 5G 통신을 활용한 항만 크레인 원격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항만 크레인 원격제어를 위..

    2019.11.03by 이수민 기자

  • ADI, 테스트 모터스 인수로 CbM 역량 강화 꾀해

    ADI가 테스트 모터스를 인수했다. 테스트 모터스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전기모터 예측정비 솔루션 기업이다. 앞으로 테스트 모터스는 ADI의 자동화 및 에너지 그룹에 편입되어 핵심 기술 그룹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ADI는 이번 인수로 장비의 고장이 일어나기 전에 ..

    2019.10.31by 이수민 기자

  • 자율주행차량 시장, 2025년부터 폭발적 성장할 것

    최근의 AI 기술 발전은 딥 러닝 기술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이에 따라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 데이터도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은 AI 기술 발전 전략에 빅 데이터 분야를 포함하여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IRS글로벌은 29일, 자동차..

    2019.10.30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