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 4.0
st 0710
DABO0722

전체기사 2,510건

  • 하니웰, 레이저 광산란 방식 초미세먼지센서 출시

    하니웰 센싱 & IoT 사업부가 콤팩트형 먼지센서 제품 ‘HPMA115C0-003’과 ‘HPMA115C0-004’를 출시했다.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같은 쪽에 위치한 모델 HPMA115C0-003과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반대편에 위치한 모델 HPMA115C0-004..

    2019.07.09by 이수민 기자

  • ​IBM, 대전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기술자문한다

    IBM이 대전광역시에 스마트시티 챌린지 구축을 위한 데이터 아키텍처 분야 기술자문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IBM 아태지역본부 리안 반 벨드이..

    2019.07.09by 이수민 기자

  • 광음향분광법 기반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출시

    이산화탄소 농도는 공기 질이 나쁘다는 것을 알려주는 하나의 지표다. 이 무색무취한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솔루션은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거나 성능이 좋지 않다. 이에 인피니언은 초소형 이산화탄소 센서인 센시브 PAS210를 출시했다. 센시브 PA..

    2019.07.07by 명세환 기자

  • 섬유패션산업 인력난, 제조로봇으로 해결한다

    섬유패션산업은 과거 한국 경제성장의 주역이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패션 트렌드와 신흥국의 발 빠른 추격 속에 한국 섬유패션산업은 생산비 상승과 설비 노후화 등에 따른 국내 생산기반 약화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정부는 이에 지난 6월 19일 발표한 제조업 르네상스의 후..

    2019.07.06by 이수민 기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 IIoT 로직·모션 솔루션 모디콘 M262 컨트롤러 출시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로직 및 모션 응용 분야를 위한 IIoT 지원 솔루션인 모디콘 M262 컨트롤러를 출시했다. 모디콘 M262 컨트롤러는 머신을 인더스트리 4.0 환경에 통합하거나, 머신-장치, 머신-사람, 머신-머신, 머신-플랜트, 또는 머신을 클라우드에 직접 통합..

    2019.07.05by 이수민 기자

  • 노르딕의 셀룰러 IoT 모듈 nRF9160 SiP, 주요 인증 획득하고 양산 단계 돌입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LTE-M/NB-IoT 및 GPS 셀룰러 IoT 모듈인 nRF9160 SiP가 성공적으로 품질 검증 및 주요 인증을 획득하고 최종 양산용 실리콘 생산단계에 돌입했다고 4일 밝혔다. 주요 인증으로는 GCF 및 PTCRB, FCC(미국 및 라틴아메리카)..

    2019.07.04by 이수민 기자

  • 2030년 미래 경제 뒤바꿀 5가지 신기술! 5·6G, AI, IoT, 블록체인 그리고 가상화폐

    델 테크놀로지스가 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래 경제를 전망한 퓨처 오브 이코노미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신기술의 부상과 발전이 향후 10년간 우리 경제의 모습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에 대한 전망과 함께, 기업과 조직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

    2019.07.04by 이수민 기자

  • 서울 지하철 2호선, 스마트 스테이션으로 탈바꿈한다

    LG유플러스는 서울교통공사와 지하철 2호선 50개 역사에 스마트 스테이션 적용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스테이션은 안전, 보안, 운영 효율 향상을 위해 지능형 통합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미래형 도시철도 정거장이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지하철 역사의 기능고도화..

    2019.07.03by 이수민 기자

  • 초저지연 5G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열쇠, MEC 기술

    5G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용화를 기점으로 대용량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만으로는 데이터센터로 집중되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데이터가 생성되는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려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MEC 기술은 ..

    2019.07.01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