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1일, 신산업 창출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 성과를 점검했다. 해당 사업은 2017년부터 Si 및 SiC, GaN 같은 화합물 기반의 전력 반도체 산업 기반을 국내에 구축하기 위해 2023년까지 진행된다. 이번 점검에는 참여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됐음을 확인했다.
산업부, 화합물 기반 전력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2023년까지 836억원 투입... 이미 390억 원 성과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R&D 추진 예정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신산업 창출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 성과를 점검했다. 또한, K-반도체 전략 후속 과제인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추진 방향도 논의했다.
▲ 산업부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 390억 원 성과"
[사진=픽사베이]
신산업 창출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2017년부터 실리콘(Si) 및 실리콘카바이드(SiC), 갈륨나이트라이드(GaN) 같은 화합물 기반의 전력 반도체 산업 기반을 국내에 구축하기 위해 2023년까지 총 836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미 2019년에는 부산대 및 기장군 의과학 산단에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유일의 6인치 SiC 파운드리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사업추진 5년 차를 맞아 진행된 이번 점검에는 참여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됐음을 확인했다.
A사는 IoT 기기용 배터리 관리 반도체를 개발하여 누적 2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B사는 자동차 조향용 반도체를 개발하고 완성차 업체에 납품해 누적 80억 원의 성과를 냈다. 이 외에도 여러 기업이 전력 반도체 분야에서 매출을 창출했고, 아직 초기 시장인 화합물 반도체 분야에서도 성과를 지속 도출하고 있다.
또한, 1,200V/1,700V급 트렌치(Trench)형 SiC MOSFET을 개발하는 등,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도 국내 기업의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SiC 관련 대규모 투자 유치, △SiC 반도체 및 모듈 적용 확대, △GaN 공정기술 확보 등 화합물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 생태계가 마련되고 있다.
정부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분야의 성장 동력 지속을 위해 지난 4월,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 방안’을 수립했고, 5월에는 ‘K-반도체 전략’에서 차세대 전력 반도체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와 양산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제품 제작, 검증, 공정 등에 관한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은 “지난 5년간 기술개발에 노력한 끝에 국내 화합물 반도체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라며,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화합물 기반 전력 반도체 같은 전략 분야를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