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6by 배종인 기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를 방문하여 반도체 인력양성에 대한 현황을 점검하고, 반도체 산업의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한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2021.04.12by 배종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이 경남·창원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 이노베이션센터’ 건립을 통해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이 제품개발 단계에서 겪는 각종 어려움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전에 예측하고, 해결방안까지 제시해주는 기업지원에 본격 나선다.
2021.01.22by 강정규 기자
과기정통부가 국산 연구장비의 신뢰도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우수 국산 연구장비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국산연구장비활용랩'을 1월 21일, 대전의 표준연 본원에 개소했다. 이번에 개소한 국산연구장비활용랩은 연구장비산업 혁신성장전략 후속조치이며, 국산 연구장비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4번째 전문 연구시설이다.
2021.01.13by 명세환 기자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농진청이 공동으로 설립을 준비한 스마트팜 연구개발 사업단이 출범했다. 해당 사업단은 비영리 공익재단법인으로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총 3,867억 원이 투입되는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을 운영하고 관리한다. 사업단장은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조성인 교수가 임명됐다.
2021.01.08by 이수민 기자
세계 이동통신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앞선 기술과 표준 선점이 필수다. 최근 미국, 중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들이 앞다퉈 5G 다음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래 이동통신 네트워크 주도권 선점과 비대면화 및 디지털화 대응을 위한 6G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AI 원팀이 공동 R&D 첫 성과로 4종의 AI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AI 기술 및 솔루션은 KT와 현대중공업그룹 사업현장에 적용된다. AI 원팀은 이번에 공개된 4개 프로젝트 외에도 AI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7개 프로젝트를 추가로 추진할 방침이다.
2020.12.30by 이수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4조9,518억 원 규모의 산업기술 R&D 지원 계획을 담은 2021년도 산업기술 혁신사업 통합시행 계획을 공고했다. 이는 2020년(4조1,718억 원) 대비 18.7% 증액된 규모다. 2021년에 산업부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와 △혁신성장 3대 신산업(빅3) 등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해서 확대하고,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 등 한국판 뉴딜과 △2030 탄소중립(net-zero) 실현을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2020.12.08by 강정규 기자
레노버 DCG가 단일 툴 세트로 다양한 규모의 고객이 에지부터 코어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엔드투엔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출시했다. 레노버 씽크시스템 DM5100F는 저지연의 올NVMe 스토리지를 제공하여 고객의 데이터 분석과 AI 배포 역량을 높이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접근을 가속한다.
2020.10.22by 이수민 기자
전자제품을 설계, 개발하는 거의 모든 기업이 테스트 장비의 잘못된 구성, 유지보수 또는 교육 문제로 인한 예측 가능한 지연과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키사이트는 ‘테스트 및 측정 장비 교육, 유지보수, 기술 지원 및 교정의 비즈니스 영향’에 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공개하며 이렇게 밝혔다.
2020.10.16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세계에서 가장 큰 전(全) 직원 원격근무 기업이었던 깃랩이 한국 기업들에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원격근무 노하우를 공유했다. 깃랩은 원격근무자들이 협업 소프트웨어, 화상회의 플랫폼, 공유문서 등을 통해 협력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