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 우간다, 생체인식 기술 도입으로 투명한 선거 치룬다.

    2016.02.11

    우간다가 10일 후인 2월 18일 총선거를 실시한다. 우간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세계 선도적 전자투표 기술 기업인 스마트매틱(Smartmatic)과 협력하여 유권자가 투표하기 전에 신원을 확인하는 유권자 생체 인식 인증 기술 솔루션을 사용하기로 했다.

  • 해외 수요 발굴부터 금융 및 마케팅까지…소재, 부품기업 종합 지원

    2016.02.11by 신윤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주형환 장관)는 "2016년도 글로벌 파트너링사업(Global Partnering 사업, 이하 GP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중소 소재 부품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지원에 시작했다.GP사업은 코트라 해외 무역관을 통해 외국 유수의 기업들의 수요를 발굴해 우리 소재, 부품기업을 소개하고, 해외기업의 요구수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기술력 향상과 품질관리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0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 SK텔레콤-에릭슨, 5G 시험망 구축 나선다.

    2016.02.11by 편집부

    5G 기술과 서비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망 개발 작업이 본격화된다. SK텔레콤이 글로벌 통신 기술 기업 에릭슨(Ericsson, CEO 한스 베스트베리)과 5G 시험망 개발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 KT, ‘GiGA IoT 헬스밴드’ 차고 숀리 트레이닝 받는다!

    2016.02.11

    KT가 트레이너 숀리와 함께 1:1 개인 트레이닝이 가능한 홈 IoT 서비스 ‘GiGA IoT 헬스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GiGA IoT 헬스밴드는 헬스밴드+올레tv+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정확한 운동 자세와 정보(칼로리, 식단 등) 확인이 가능한 서비스다.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IoT 서비스를 올레tv와 연계해 사용자가 직접보고 친근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 Mouser, 새로운 파워 매니지먼트 기술 위한 마이크로 사이트 오픈

    2016.02.11by 편집부

    마우서(Mouser Electronics)가 엔지니어들이 파워 매니지먼트 기술의 최신 정보에 빨리 접하도록 도와주는 파워 매니지먼트 기술 마이크로 사이트를 오픈 했다.

  • 리니어, 외장 전력 트레인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하는 DC/DC 컨트롤러 출시

    2016.02.11by 편집부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차동 출력 전압 감지 기능 및 위상간 정확한 전류 공유를 제공하는 쿼드 출력 다중위상 동기식 스텝다운 DC/DC 컨트롤러(제품명: LTC7851/-1)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컨트롤러는 DrMOS 및 파워블록뿐 만 아니라 디스크리트 N채널 MOSFET 및 관련 게이트 드라이버와 같은 외장 전력 트레인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하여, 유연한 설계 구성이 가능하다.

  • 삼성전자, ISE2016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 선보여

    2016.02.11

    삼성전자가 9일부터 12일(현지)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상업용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Integrated Systems Europe) 2016’에 참가해 혁신적인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 LG전자, ‘올레드’ 상업용 디스플레이로 가능성 제시

    2016.02.11

    LG전자가 압도적인 화질의 올레드를 앞세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9일(현지시각)부터 4일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16(Integrated Systems Europe 2016)’에 참가했다. 지난해 대비 약 35% 늘어난 규모로 전시부스를 마련했다.

  • LG유플러스, LTE 100Mbps 시대열린다. VR영상까지 업로드 가능

    2016.02.11

    사진 위주였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4K급(Full HD 화질의 4배) 고화질 개인 방송이나 VR 영상 공유 등 업로드 형태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기술 상용화가 초읽기에 들어섰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