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손끝에서 목소리로, 인피니언이 답한 ‘듣는 AI’의 미래”

인피니언이 MEMS 마이크 기술을 통해 AI 음성 인식 정확도와 전력 효율을 개선했다. SDM과 SBP 두 가지 구조를 제공하며 높은 SNR을 구현해 WER을 낮추는 성능을 입증했다.

2025.11.12by 명세환 기자

image

[기술기고] ADI, “‘LTC7899’ 트랜스포머 없이 간단·효율적 전압 인버팅 가능”

인버팅 토폴로지의 전압 변환 IC에 대해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의 프레데릭 도스탈(Frederik Dostal) 전원 관리 전문가에게 들어봤다.

2025.11.06by 편집부

image

[기술기고] 마우저 캐롤린 매서스, “‘초박막 OLED’ 야간 투시 혁신”

야간 투시 기술을 변화시키는 초경량 OLED에 대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의 캐롤린 매서스(Carolyn Mathas)가 이야기한다.

2025.11.04by 편집부

image

[기고] 김필수 대림대 교수, “전기차 보조금 형평성·합리성 동반하는 정당한 행정 기대”

전기차 보조금 개선과 관련해 김필수 대림대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2025.11.04by 편집부

image

고속 인터페이스 시대의 난제 '테스트 마진', 차세대 오실로스코프로 해법 찾는다

PCIe Gen6, USB4, DDR5로 대표되는 초고속 인터페이스의 시대가 도래했지만, 속도의 진보는 측정의 난제를 동반하고 있다. 신호 대역폭이 넓어지고 지터(Jitter)와 노이즈의 영향이 커지면서, 설계 검증 단계에서 확보해야 할 ‘테스트 마진’은 점점 줄어드는..

2025.11.02by 명세환 기자

image

[기고] 김필수 대림대 교수, “테슬라 비상시 안전장치의 문제점, 이제서야 바뀐다”

테슬라의 비상시 안전장치 문제점에 대해 대림대학교 김필수 교수가 이야기한다.

2025.10.27by 편집부

image

[기술기고] 마우저, “‘초소형 프라즈모닉 변조기’ 광통신 한계 돌파”

엔지니어들이 초소형 플라즈모닉 변조기로 속도 장벽을 돌파하는 방법에 대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의 니코렛 에미노(Nicolette Emmino)가 이야기 한다.

2025.10.16by 편집부

image

[기술기고] ADI, “다중 위상 플라이백 컨버터 60W 이상 전력량 공급”

고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라이백 컨버터 설계에 대해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의 프레데릭 도스탈(Frederik Dostal) 전원 관리 전문가가 이야기 한다.

2025.10.13by 편집부

image

NI, FPGA 기반 sHIL로 EV 전력변환 제어기 검증 패러다임 바꾼다

NI는 전기차 인버터·OBC·DC-DC·ICCU 등 복잡해지는 전력변환 제어기의 검증을 위해 FPGA 기반 Signal-level HIL(sHIL) 전략을 제시했다. ECU만 실제로 두고 전력회로·모터를 FPGA로 가상화해 초기부터 안전·정밀 검증이 가능하다. 정재형 ..

2025.09.29by 명세환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