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7일(일)
  • e4ds plus
  • 로그인
  • 회원가입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경품당첨확인
logo
logo
  • News
    • 반도체
    • AI
    • 보안
    • 인더스트리 4.0
    • 자동차
    • 스마트 IoT
    • 컴퓨터
    • 통신
    • 특수 가스
    • 소재 및 장비
    • 유통
    • 정책
    • All keywords
  • Resource Center
    • ADI
    • CREAFORM
    • Infineon
    • keti
    • Keysight
    • Microchip Technology Inc.
    • MouserElectronics
    • NI
    • ROHM
    • STMicroelectronics
    • Tektronix
    • Texas Instruments
  • Conference
  • EEWebinar
  • Event
  • Maker's Zone
    • Home
    • Project
    • Contest
    • e4ds Connect
  • e4ds plus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경품당첨확인
✕

NEWSLETTER

뉴스레터 목록
Newsletter_e4ds
e4ds facebook ADS를 이용한 High Speed 채널 시뮬레이션 방법
모바일 산업,
전 세계 지속 가능발전 이끈다
GSMA가 9월 26일 유엔 총회에 맞춰 2018년 GSMA의 연례 모바일 산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16년, 모바일이 '지속 가능발전 목표' 이행을 약속한 세계 최초의 업종이 된 이후로, 17개 모든 목표에 대한 기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5G 이슈
5G "전 분야 개척하는 국내 기업들
5세대 이동통신, 즉 5G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가 개발한 새 규격이다. 5G는 6GHz 이하 주파수대역(2.5GHz, 3.5GHz, 4.5GHz 등)과 밀리미터파(mmWave)로 불리는...
‘THz’ 기반 6G 연구로 미래 통신 준비해야
이동통신은 1세대에서 4세대까지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속도를 높이고 지연성을 단축했다. 각 세대로 넘어가는 연구 및 개발 속도도 짧아졌다. 그 결과, 5G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최근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중국...
평창올림픽, 인텔의 드론 동시제어 기술로, 1천 218개 드론 띄어
인텔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1천 218개의 드론을 띄어 개막식을 더욱 화려하게 장식했다. 2016년부터 시작된 인텔의 슈팅스타 드론은 인텔자체의 센서기술인...
+ 토픽 + 트렌드 + 기술 + 전체
AI 이슈
AI, 전문가 아니라도 실무 적용 가능하다
가트너의 2018년 조사(Gartner 2018 CIO Survey)에 의하면, AI를 실무에 적용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3천여 개의 기업 중 50%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그리고 4%는 이미 AI를 실무에 적용하고 있었다.
홀로그램 AI 아바타와 마주보고 대화한다
SK텔레콤이 사람 모습의 아바타와 서로 마주보고 대화할 수 있는 '홀로박스(HoloBox)'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MWC 2018)’에서 공개한다. '홀로박스'는 차세대 미디어 기술인 홀로그램(Hologram)에 SK텔레콤 인공지능...
크기는 작게, 용량은 크게 반도체로 진화하는 인공지능
세미콘 코리아 2018에서 강호규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장 겸 부사장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반도체 기술과 방향에 대해 얘기했다. 반도체는 세계 경제 호전과 IoT, 자율주행차 등의 수요 증가로 2018년에도 강세를 이어갈...
자일링스와 손잡고 AI 기술 집약 데이터 센터 구축한 SKT
SK텔레콤이 자사의 데이터 센터에 인공지능(AI) 가속기로 자일링스의 FPGA를 배치했다. AI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기'와 같은 존재다. 현재도 AI는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어 기존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새로운 가치를...
자율주행차 이슈
자율주행차 왜 라이다(LiDAR)인가?
자율주행차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여러 기술이 필요하다. 차간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해주는 HDA,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LKAS),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AEB, ACC 등 수십 가지가 충족되어야 한다.
자율주행차 센서, MIMO와 멀티 패스 정밀도 높이고 가격은 낮춰야
자율주행차에서 안전은 당연한 요소다. 이를 갖추기 위한 레이더와 라이다의 방향에 대해 전자부품연구원 이선영 연구원은 “레이더는 MIMO 기반의 정밀도 향상과 Multi Path 개선을, 라이다는 고가의 장비와 낮은 해상도를...
AUDI 사례로 보는 미래형 레이다 시스템의 테스트 방법
2005년 위험경고 수준의 Lv0로 시작한 ADAS 단계가, 현재 Lv2 통합 운전지원을 넘어 Lv3인 부분 자율주행의 단계까지 다다르고 있다. 실제 독일 자동차 기업인 AUDI의 경우 작년 최초의 Lv3 자율주행 수준인 A8 차량을 출시하였으며...
자율주행차 시장 2위는 없어, 협력만이 살 길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은 기술도 없고, 법도 없다. 테스트베드와 관련 인력도 확보가 안되어 있는 상황이다” 2030년이면 신차 10대중 4대가 자율주행차가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팩토리, 기술 자동화뿐 아니라 고도화 신경 쓸 차례
정부는 작년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를 발표하면서 오는 2025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2017년까지 약 5천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다. 김철민 의원의 주최로 ‘스마트공장 활성화...
이더넷 프로토콜의 기준 ‘OPC UA’를 잡아라
아무리 좋은 기술력도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이 정립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4차 산업의 핵심은 융합이다. 공장 간, 장비 간, 사물 간 호환성 확보가 이뤄져야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를 통한 가격과 품질 경쟁력 확보 등...
스마트 팩토리 도입 전 '이것' 따져봐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 미국 등 주도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 중 독일의 Industry 4.0은 전 세계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4차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독일과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와 우리나라 및 기업은 AI...
스마트 팩토리, 설계에서 제조까지 데이터 대동단결!
스마트팩토리에서 중요한 부분은 R&D 연구소와 제조업의 연계성이다. 이를 위해 제조에 필요한 기술 데이터를 축적해야한다. 국내 스마트팩토리는 기술 수준은 상당부분 증가했으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회로 관리...
+ 더보기
[양자 돌아보기] 모르는 것보다 배우지 않는 것이 더 부끄럽다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등의 발달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은 날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집적회로의 한계 역시 날마다 다가오고 있다. 아무리 미세공정을 도입해도 집적회로의 원리상 한계를 피할 수는 없다.


[양자 톺아보기] 1. 앤트맨과 양자 이야기

[양자 톺아보기] 2. 모든 것은 원자로 이루어졌다

[양자 톺아보기] 3. 얼떨결에 뛰어넘은 고전역학

[양자 톺아보기] 4. 만들어 놓고 왜 믿지를 못하니

[양자 톺아보기] 5. 코펜하겐 해석, 양자역학을 ...

[양자 톺아보기] 6.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기술이슈
가전의 핵심 "모터" 가변속 제어하기
다이슨 무선청소기가 청소기 시장의 판도를 바꾼 지 벌써 여러 해다. 유선청소기보다 흡입력이 약해 보조적으로만 사용되던 기존의 무선청소기들과 달리 다이슨의 무선청소기는 강력한 흡입력을 앞세워...
초당 700 Frame 가능한 OpenCV 이미지 프로세싱을 구현하려면!
명함의 글씨부터, 사람 얼굴 인식까지, 웬만한 형태의 이미지는 이제 핸드폰으로도 인식할 수 있다. OpenCV라는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인텔이 개발하였고, 현재 윈도, 리눅스 등의 여러 플랫폼에서...
대용량 메모리 컨트롤하는 저전력 소형화 HBM2
시스템 요구사항의 폭발적 증가
지난 수년간 메모리 대역폭과 시스템 요구사항은 비례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 AI, IoT, 블록체인, RADAR, 5G, 8K 비디오 등의 발달로 산업전반에서...
악조건 속에서도 끄떡없는 'mmWave 센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은 오륜기가 펄럭이는 모습이 아닌 1,218대의 드론이 비행하며 대회의 막을 알렸다. 인텔은 드론 센서와 동시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기네스 신기록을 경신했다. 드론 퍼포먼스를 통해 보여준...
엔지니어 인터뷰
“많은 서버 필요한 4차 산업에 저전력 ARM 서버가 큰 역할 할 것”
엔지니어와 기술적인 나눔을 갖는 시간! ARM 아키텍처 기반의 서버 개발에 성공한 유명환 엑세스 랩(XS LAB) 대표 겸 CTO를 만났다. 그가 ARM 서버 개발에 성공한 데까지는 쉽지 않은 과정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유명환 대표가...
드론 교육 “조종 자격증에서 벗어나 체계적 교육 준비해야할 때”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과 폐막식에서 밤하늘에 수놓아진 드론 라이트 쇼가 이목을 끌었다. 인텔의 슈팅스타 드론 1,218대로 펼친 쇼는 ‘최다 무인항공기 공중 동시 비행’ 부문 세계 기네스 기록을 경신했다.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밀 관성 센싱 솔루션
ㄴ IoMT를 위한 고성능 관성센서
ㄴ 자동화 기계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ㄴ 산업 및 자동차 전장 분야 혁신 레이더 기술 확보
CapTIvate ™ 기술을 사용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원격 제어 레퍼런스 디자인
ㄴ 90mW 미만의 초저 대기 전력 Auxless AC-DC..
ㄴ 5V 2A 출력 기준 설계로 저렴한 범용 AC 입력..
ㄴ 통합 햅틱 피드백 기준 설계의 금속 버튼 터치..
온라인 기술 세미나
ADS를 이용한 High Speed 채널 시뮬레이션 방법
Today 2018/10/04 | Keysight
2018/10/05 | 전기전자 평생교육원
D-1 2018/10/05 | 전기전자 평생교육원
RISC-V 병렬처리 동기화 및 락킹 기법
D-7 2018/10/11 | MouserElectronics
간단하게 파워 설계가 가능한 마이크로 모듈
D-12 2018/10/16 | ADI
Video News

대용량 메모리 컨트롤하는 저전력 소형화 HBM2


AI, 전문가 아니라도 실무 적용 가능하다



깨끗하게 넓게 정밀하게, 텍트로닉스 6 시리즈 MSO 출시

기술 기고문


90mW 미만의 초저 대기 전력 Auxless AC-DC 전원 공급 장치 기준 설계


RF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pH 센서 레퍼런스 설계

5kVRMS 강화 디지털 아이솔레이터 출시


120" Tech Video

스마트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설계하기



고성능 서브-GHz 무선 개발 플랫폼


MAX32660 Part2- EVKit 및 소프트웨어 개발

e4ds | e4ds Video News | e4ds Facebook | eewebinar | e4ds Youtube
뉴스레터 목록

Newsletter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지난 뉴스레터 보기 +
image

많이 본 뉴스

  • 1

    [2025 e4ds Tech Day]QNX 류민희 차장, “HW 없이도 SW 개발 SDV 개발 한계 극복 선봉 설 것”

  • 2

    [2025 e4ds Tech Day]MDS테크 박태준 대리, “‘온디바이스 AI 개발’ 초보자도 가능한 손쉬운 환경 제공”

  • 3

    [2025 e4ds Tech Day]문현수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과장①, “STM32N6 에너지 제약이 있는 환경서 엣지 AI 최적 성능 제공”

  • 4

    [2025 e4ds Tech Day]NI 성웅용 이사, “다이나믹 신뢰성 테스트로 고전력 반도체 수명 예측 완료”

  • 5

    [2025 e4ds Tech Day]오준형 Vector FAE, “SDV 시대 소프트웨어가 제품 경쟁력의 핵심”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배종인 02-866-9957 , news@e4ds.com

e4ds뉴스 매체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제휴문의 e4ds윤리강령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하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이메일 찾기 비밀번호찾기

로그인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하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이메일 찾기 비밀번호찾기
닉네임/프로필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