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년 전통 제조업체 GE가 자신들을 ‘스타트업’이라 지칭했다. 클라우드를 도입하며 시작 단계에 섰다는 것이다.
지난 19일 열린, 아마존의 웹서비스 AWS 서밋 기조연설에서 염동훈 대표는 개발과 운영의 혼합된 형태인 데브옵스(DevObs)를 언급하며 “기존에는 새로운 버전을 구매하는 형태였다면, 이젠 구매가 아닌 업데이트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염대표는 "이미 많은 기업이 고민을 마치고 클라우드를 시행하고 있다.”며 “클라우드는 더는 고민할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GE는 9,000개의 기업내 워크로드를 AWS로 전환했고 3년 내 34개의 데이터센터를 4개로 축소할 계획이다. AWS 전환 후 현재 스코어는 기존 대비 52% 비용 절감,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제공 속도 77% 향상, 운영 배포 사이클 주기 단축 몇 ‘일’에서 몇 ‘시간’으로, 고객 및 시장 대응 240% 향상이다.
아마존의 R&D 과정은 자사에 직접 시뮬레이션 과정을 거친다. 그렇게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클라우드 스토리지 S3이 형성됐다. S3는 지멘스, 혼다, GE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편의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에 아마존의 딥러닝을 더해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알고리즘, GPU기능을 갖췄다.
삼성 SDS의 SCM(공급망관리) 고도화 위한 클라우드 활용 사례
지난해 미국의 물류 전문지 저널오브커머스에서 ‘물류 분야에 성장을 이끄는 회사’를 주제로 삼성SDS의 특집 기사를 싣기도 했다. 삼성SDS의 물류 사업 중심에는 첼로(CELLO)가 있다.
2017-04-24 오후 2:12:35by 김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