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광 송수신 부품 독자 개발로 데이터 전송 용량 4배 확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는 광수신기 소자와 파장기변 광원 소자 개발 5G 통신망을 위한 부품이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광 송수신 부품을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했다. 기존 전달망이 100G 내외였는데 이를 4배 확대해 400Gb..

2018.03.09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BMW와 차세대 자동차용 기술 개발 협력

조작 장치에 촉각 입출력 느낌 제공해 운전자 주의 분산시키지 않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BMW코리아 R&D 센터와 차세대 자동차용 주요기술 개발을 협력하기로 했다. ETRI는 기관 간 기술협력을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BMW와 ..

2018.03.09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기가급 와이파이 전송 기술 달리는 버스에서 시연 성공

달리는 버스에서 안경없이 3D 영상 볼 수 있는 미디어 전송서비스 시연 서울지하철에 기가급 와이파이를 제공한데 이어 달리는 버스에서도 5Gbps급 전송 시연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본 기술이 한국과 유럽연합(EU)간 5세대(G)..

2018.03.02by 김지혜 기자

image

사람의 뇌 모방한 '광 시냅스 모방소자' 개발

전기적인 방법의 한계 느껴 광학적인 방법으로 접근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인공적으로 재현한 ‘광 시냅스 모방소자’가 개발됐다. 이로써 향후 인간의 뇌처럼 저장하면서 생각하는 신경모방 광컴퓨팅 기술 개발을 위한 초석이 마련됐다.   한..

2018.03.02by 김지혜 기자

image

직물에 그래핀 입혀 구부러지는 센서 개발한다

직물에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섞은 용액을 입혀 센서로 활용 여러 번 구부리거나 눌러도 방수가 되고 높은 전도성을 갖는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면섬유와 같은 직물을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섞은 용액에 담갔다 빼고 건조공정을..

2018.03.02by 김지혜 기자

image

임시 LTE망 반경 수백m에서 배낭형태 기지국 상용화 가능성 열려

LTE-TDD, 상향과 하향의 비율 시간으로 나눠 사용 가능한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건물이나 운동경기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진보된 소형셀 기지국 SW 기술을 개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지난 2016년 LTE 소형셀 기지국 SW개발 ..

2018.02.13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내부보안성 강화 위한 단방향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

현대중공업 발전플랜트 제어시스템 데이터 수집 서버 구간에 첫 적용 예정   국내 연구진이 발전소와 같은 국가 주요기반시설의 제어시스템 내부보안성 강화를 위한 단방향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진테크이엔..

2018.01.30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발표

향후 6년간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 10배 이상 급증 2023년 말에는 3.2 엑사바이트에 이를 것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동통신 시장 성장을 대표하는 지표로 모바일 트래픽 현황을 발표했다.  본 내용에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트래픽 추세..

2018.01.25by 김지혜 기자

image

기가와이파이, 이제 서울 지하철에서도 된다

통신수준 향상사업 위한 기술 BMT 성공 기술검증 완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하철에서 1Gbps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달리는 지하처러 내에서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 ..

2018.01.05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생체 내에서 부식없는 유연 신경전극 개발

뇌와 연결, 생체 삽입 웨어러블 센서 활용 가능 생체 내에서도 부식이 되지 않고, 장기간 신경 신호를 측정하고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유연한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화학적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

2017.12.22by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