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by 배종인 기자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이 태양에너지를 물 분해로 전환해 그린 수소를 직접 생산하는 모듈형 인공나뭇잎(인공광합성) 기술을 상용화 가능 단계로 끌어올렸다.
2025.06.16by 배종인 기자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팀이 창문이나 모바일 기기 화면을 ‘투명 발전소’로 활용할 수 있는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10.81% 이상의 광전변환효율과 45.43%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기록하는 태양전지가 탄생해, 기존 태양전지의 어두운 외관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2025.06.12by 배종인 기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와 ‘AI 및 디지털 전환 기반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전면 도입해 대학에 특화된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으로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한다.
2025.05.28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박종래)가 기상청이 주관하는 385억원 규모의 대형 연구과제를 수주했다. 이번 연구사업은 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이명인, 차동현, 임정호 교수가 주도하며, 각기 다른 분야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최첨단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5.04.25by 배종인 기자
데이터 기반 신소재 개발 방법론이 실험적으로 입증돼, 인공지능(AI)과 자동화기술이 결합해 더욱 빠르고 효과적인 신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화학과 최원영 교수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연구를 통해 데이터 기반 구조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해 새로운 제올라이트 모방 MOF(ZIF) 3종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2025.03.31by 배종인 기자
UNIST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교수팀은 POSTECH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의 결함을 200℃에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025.03.28by 배종인 기자
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송명훈 교수 연구팀은 태양광 전기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암모니아를 합성하고, 동시에 폐플라스틱에서 고부가가치 물질인 글리콜산을 생산하는 새로운 광전기화학 시스템을 개발했다.
2025.03.18by 배종인 기자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이 배터리 양극 신소재인 과리튬 소재의 산소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할 소재 설계 원리를 제시하며, 향후 장거리 주행 배터리 개발이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2.28by 배종인 기자
UNIST 박승배 교수가 현대 과학 이론과 철학적 질문을 쉽게 풀어낸 과학철학 개론서 ‘Reflections upon Science’를 출간했다.
2025.02.26by 배종인 기자
UNIST 인공지능대학원 백승렬 교수팀이 창의적인 텍스트 프롬프트 기반의 조명 효과를 적용하는 인공지능 모델 ‘텍스트투리라이트(Text2Relight)’를 개발하며, 복잡한 편집도구를 쓰지 않고도 텍스트 입력만으로 ‘따끈따끈한 치킨’, ‘차가운 푸른빛’과 같은 언어의 감성까지 담아 사진이나 영상의 색감을 쉽게 보정할 수 있게 됐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