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가 지하철 28GHz를 활용하는 지하철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이음5G(5G 특화망)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운데 상용망에서의 28GHz 대역 활용 가능성은 여전히 적신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을 발표한 과기부 이종호 장관 모습
이통사, 지하철 와이파이 한해 28GHz 활용
과기부, “제4이통에 추가 주파수 할당 가능성 有”
이동통신사가 지하철 28GHz를 활용하는 지하철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이음5G(5G 특화망)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운데 상용망에서의 28GHz 대역 활용 가능성은 여전히 적신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음5G(5G 특화망)’란 이동통신사가 아닌 일반 기업이 자체 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특정구역 단위로 5G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사가 28GHz를 백홀로 활용하는 지하철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음5G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2023년 12월 1일자로 이음5G 주파수 할당공고를 개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할당 공고가 개정돼도 이통사가 이음5G의 모든 대역(4.7GHz, 28GHz)을 사용해 전체 이음5G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된 것은 아니다. 이통사는 28GHz대역 주파수에 대해서만 용도를 지하철 와이파이 서비스용으로 한정해 사용할 수 있다.
이통3사가 지난 2021년 6월부터 서울지하철 2호선 성수 지선, 11월에는 2,5~8호선에 백홀을 사용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나, KT와 LGU+는 2022년 12월, SKT는 2023년 5월에 각각 28GHz 대역 주파수 할당이 취소된 바 있다.
과기부는 당초 할당 종료일인 2023년 11월 말까지만 지하철 구간에서 이통3사가 기존에 할당 받은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통3사는 지하철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속하기를 희망했고, 과기부는 “28GHz 대역을 활용해 지하철 와이파이 환경 개선을 통한 국민 편익 향상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이유로 이번 이음5G 주파수 할당 공고를 개정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과기부 최우혁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할당 공고 개정으로 이음 5G 28GHz 대역을 통해 지하철 와이파이 환경 개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이통사의 적극적인 28GHz 대역 투자가 국민 편익 향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음5G가 아닌 상용망에서 5G 28GHz 주파수를 활용하기는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과기부가 공고 중인 28GHz 신규사업자 신청은 더딘 상황으로 나타났다. 과기부는 28GHz 투자를 우선적으로 제시하며 제4이통을 발굴하기 위한 기지국 의무 구축, 최저 경매가 등의 축소 정책을 제시했으나, 업계는 이통 3사도 하지 못한 마당에 신규사업자가 28GHz를 기반으로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5G 28GHz는 애당초 B2B로 활용될 목적을 가진 주파수로, 상용망으로 성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말했다.
미래모바일은 제4이통에 공식적으로 도전하며 2.3GHz 주파수를 지속 요구하고 있다.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미래모바일 이경수 고문은 “시장 초기 진입 시에는 28GHz 주파수만으로 수익을 내기에는 어려울 것”이며, “과거 와이브로 용으로 사용됐다가 현재 유휴 주파수 자원이 된 2.3GHz 주파수를 활용하면 투자비가 적어 투자비 회수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과기부는 “신규사업자가 28GHz 외에 다른 주파수를 요청하면 우선 검토할 예정은 있다”고 다시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다. 지난 신규사업자 할당 공고를 낼 당시 과기부는 28GHz을 우선하여 투자할 사업자를 발굴하겠다고 밝혔지만 말을 번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급된 대역은 3.7GHz~4GHz 대역으로 예상되며, 2.3GHz 대역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3.7GHz 대역은 SKT가 지속적으로 인접 대역으로 추가 할당을 요구해 온 대역이다. 현재 SKT는 3.6GHz~3.7GHz, KT는 3.5GHz~3.5GHz, LG유플러스는 3.43GHz~3.5GHz 대역과 추가 20MHz을 할당 받은 상태다.
정부가 28GHz 주파수 할당을 위해 제안들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반쪽짜리 5G밖에 누리지 못한 소비자들과 기존 이통 3사, 신규사업자의 업계 수익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정책의 현실화 가능성을 염두해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