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주요 IT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며, 각 민원 사이트들이 중단을 알리는 공지를 올리고 있다.
화재로 정부 시스템 장애, 정부 전산망서 은행까지 대란 불가피
백업 체계 있어도 가동 못해, 재난 발생시 대응 시스템 대비 必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대정부 IT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며, 디지털·AI 사회에서 정부 전산망 마비는 곧 사회 마비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특히 백업·보안 시스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작동하지 않은 점에서 국가 IT 인프라에 대한 재점검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9월26일 저녁,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 주요 IT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며 전국적인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고는 UPS(무정전전원장치) 교체 작업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소방·경찰·군 등 242명의 인력과 67대의 장비가 투입돼 진화 작업이 진행됐으며, 다음 날 오후 6시에야 완전히 불길이 잡혔다.
반면에 피해는 막대했다. 총 647개 전산 시스템이 멈췄고, 9월29일 오전 기준 39개만 복구된 상태다.
이번 화재로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무인민원발급기, 국민신문고, 각 부처 홈페이지 등 주요 대국민 서비스가 모두 중단됐다.
이에 따라 주민센터, 구청 등 현장 민원 창구는 큰 혼란을 겪고 있으며, 방문 전 전화 확인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전자증명서 발급, 국민비서,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등 디지털 행정 서비스도 이용이 제한됐다.
은행 업무 역시 차질을 빚고 있다. 실물 운전면허증, 여권 등으로는 본인 확인이 가능하지만 주민등록증과 국가보훈증은 사용 불가해 금융 거래 지연이 불가피하다.
특히 119 문자·영상 신고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긴급 상황 대응에 심각한 공백이 발생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화재 직후 현장을 방문해 신속한 복구를 지시했으나, 예상보다 복구 속도가 더디다.
이에 따라 국민 불편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세 신고·납부 기한을 내달 15일까지 연장하는 등 긴급 대책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핵심 문제로 백업 시스템의 작동 실패를 지적한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이중화 센터, 분산 저장, 재해복구 체계를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위기 상황에서는 연계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난 발생을 가정한 실질적 대응 매뉴얼과 훈련이 부족했다”라며, 단순한 시스템 구축이 아닌 실행 가능한 위기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번 화재는 데이터센터 집중화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국가 핵심 IT 인프라를 단일 시설에 의존하는 구조를 개선하고, 클라우드 백업 및 분산 저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 등 전산실 내 위험 요소에 대한 안전 점검 강화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번 사건은 “디지털 사회에서 IT 인프라 마비는 곧 사회 마비”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켰다. 온라인 서비스 축소 주장도 나오고 있으나, 이는 시대 역행이라는 비판이 크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를 반면교사로 삼아 2중·3중 안전 시스템 구축과 국가 IT 인프라 전면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