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구 : Python 기반 오픈소스 AI 워크플로우도 많이 쓰이고 있는데, NI의 Nigel이 제공하는 고유한 장점이나 경쟁 대비 차별성은 무엇인지요?
NI2 : 수년간 NI의 PXI및 DAQ와 같은 수많은 하드웨어 제품과 LabVIEW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정보들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database를 가지고 있기에 NI의 제품을 사용하실때 필요한 정보들을 얻는 것에는 다른 생성형 AI 대비 높은 정확도를 지녔습니다.
최*빈 : Nigel AI Advisor가 LabVIEW 코드 또는 TestStand 시퀀스를 해석·생성할 때, 정확도는 어느 정도이며 복잡한 사용자 정의 함수도 지원 가능한가요?
NI1 : 안녕하세요, 정확도는 수치적으로 표현할 수 는 없지만, 경험적으로 코드/시퀀스의 해석 부분은 매우 신뢰할 만하며, 설명또한 자세하고 정확합니다. 불행히도 현재 코드 생성은 지원하지 않으나, 향후 지원할 예정입니다. Nigel은 진화하고 있고 그 기능도 향상 될 예정이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되셨을까요?
NI1 : 또한, 예제 뿐 만아니라 사용자가 작성하신 함수도 동일하게 분석 및 설명을 해줍니다.
김*민 : SRAM 과 Code Flash 용량 문의 드립니다.
Infineon_4 : PSoC4100T 제품의 내부 메모리는, (1) 플래시 메모리 : 64KB, (2) SRAM : 8KB 입니다.
정*균 : PSoC 4100T는 주로 어떤 스마트제품 설계에 많이 사용되었는지 궁금합니다.
infineon_1 : 가전제품및 포터블디바이스등 사람 손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어느 장치에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김*식 : 회로설계시 simsurfing상에서 CMCC부품을 사용하고 인접한 다른 수동 소자들과 연계한 임피던스 파라미터 시뮬레이션이 가능한지요?
murata3 : Simsurfing에서 Noise simulation tool plus라는 항목에서 가능하십니다. 상세 내용은 매뉴얼이 Simsurfing page에 있으므로 참고 부탁 드립니다.
조*휘 : 30MHz 및 60MHz에서 DP 측정시 규격을 초과하는데 좋은 방법이 있는지요?
murata4 : 정확한 설계 조건의 확인은 어렵습니다만, 일반적으로 고용량 인덕터를 통한 필터구성을 제안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개별문의 부탁드리겠습니다.
박*구 : 테스트 커버리지 평가 시, AI가 단순 통계 기반이 아니라 기능 단위·경계 조건 기반 커버리지를 계산하여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는지요?
NI3 : 안녕하세요, 고객님. 아쉽게도 아직은 해당 기능까지는 제공하지 않으며, 현재는 지식 제공, 설계 조언, 문제 해결등 Advisor 역할에 조금 더 치중 되어 있습니다. 다만, 앞으로 NI는 관련 소프트웨어에 지속적인 투자를 할 예정이므로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최*빈 : PXI 기반 PMIC 테스트 아키텍처에서 고주파 잡음이나 트랜지언트 응답 특성을 측정할 때, AI가 보정하거나 최적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무엇입니까?
NI4 : 현재 TestStand 용 Nigel AI advisor는 측정값을 직접 보정하거나 최적화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현재는 지식 제공, 설계 조언, 문제 해결 등 Advisor의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다만 NI는 관련 소프트웨어에 지속적인 투자를 할 예정이며 현재는 질문에 대한 답변과 같은 소규모 작업 지원만 가능하지만, 추후 대규모 작업 및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제공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백*옥 : 단순 움직임이 아닌 좌->우 또는 우->좌 판별은 거리정보 데이터를 이용해서 별도로 구현해야 하나요?
ST3 : 네, 맞습니다. 출력된 4x4 또는 8x8의 거리값을 응용합니다.
김*식 : ST 멀티존 거리측정 센서를 사용시 350cm거리와 90도에 해당하는 면적을 감지 커버하지 못할 경우 2~4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 application도 제공하는지요?
ST3 : 같은 i2c 라인을 사용하는 경우, GPIO를 사용하여 i2c address를 변경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최*섭 : sic mosfet에서 빠른 턴오프를 위해 negative bias를 구성해야된다고 하였는데 4세대 제품에도 구성을 해야되는건가요?
ROHM2 : Self Turn-on현상을 막기위해 기존에 Negative bias를 구성해야 했습니다. 현재 로옴 SiC 4세대 제품의 솔루션은 Negative bias 인가 필요가 없습니다.
한*웅 : 스위칭 속도는 높아지나 Peak 전류가 더 높아지는 불리한점은 없나요?
ROHM2 : 일반적으로 스위칭 속도가 높아질 수록 Peak 전류도 상승합니다. Gate 저항치로 Switching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등으로 설계가 필요합니다.
채*기 : 멀티 블루투스 지원이 가능하나요 ?
Microchip_Brett : 최대 6개의 디바이스와 동시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 멀티롤을 지원하여 1개의 스마트폰 5개의 Peripheral 장치와 연결 가능합니다.
신*동 : 개발 보드에서 사용 가능한 센서나 액추에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지요?
Microchip_Luke : 네 그렇습니다. 저희 Microchip 의 Git Hub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MicrochipTech
조*탁 : FOD를 비롯하여 타 전자파 간섭의 경우 어떤식으로 필터링을 하고 있는지요?
Infineon_3 : 타 전자파 간섭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 동일한 패턴의 전자파를 방사하고 수신한 패턴에서 간섭의 유무를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간섭 된 전자파를 인식 할 수 는 있습니다.
박*영 : 레이더로 접근하는 대상을 구분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사람이 접근하는지, 로봇이 접근하는지에 대해
Infineon_1 : 사물에 대한 구분은 현재 ML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알고리즘에 의해서도 구분이 가능 할 수 있습니다.
김*수 : 위성을 통한 5G 서비스 제공 시 정지궤도위성을 사용하면 도플러 쉬프트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할 것 같은데 회전 위성을 사용하는지요?
Keysight2 : 위성을 통한 5G 서비스 제공 시 정지궤도위성보다는 저궤도위성(LEO: Low Earth Orbit)을 주로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지궤도 위성은 전파 지연시간이 길고 전송손실도 큽니다. 반면, 저궤도 위성은 전파지연 시간이 짧고 전송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다수의 저궤도위성 군집을 활용하면 연속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정*령 : 일본의 경우 산악 지역, 선박내 등 5G 특화망과 인터넷망간 연결을 위해 미국 스타링크 저궤도 위성 인터넷 링크를 이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사업자 등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Keysight2 : 현재 한국에서는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사업자는 아직 없지만,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준비 중인 기업들이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스타링크와 같은 글로벌 서비스 제공자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도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KT SAT,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LG유플러스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향후 수년 내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원 : [질문]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UR3 : 안녕하세요, 협동로봇은 펜스의 제한이 없어지면서 모든 산업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자동화 시장(자동차,전자,금속)등은 물론이고 일반 커머셜 시장 (카페,식당)에도 많이 도입 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자동차 시장, 전자 시장이 크지만 다른 시장도 빠른 성장 중 입니다. 이외에 유니버설로봇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쉬운 사용 그리고 모든 내용을 공유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와의 융합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 부분도 큰 발전이 예상이 됩니다. (노티칭 베이스)
김*수 : 커스터마이징 제어가 가능한가요? 사용 가능한 제어 언어로는 어떤 개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UR3 : 안녕하세요 UR 로봇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UR에서 개발한 Script 언어인 URScript를 써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해당 URscript를 소켓통신으로 UR에 보내면 로봇이 구동되게 되는데 소켓통신으로 보내기 위해서 어떤 언어로도 모두 구현이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파이썬, C#, 자바 등 모든 언어로 UR 로봇을 원격제어 가능합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