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
semi
image

1Q 반도체 장비 매출 전년比 9% ↑

▲2023년 1분기 전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출처: SEMI, SEAJ (2023년 6월))   AI·車 반도체 투자 활발 2023년 1분기 전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이 인공지능(AI), 자동차용 반도체 투자가 활발하며, 전년동..

2023.06.14by 배종인 기자

image

“특수가스 등 반도체 소재 올해 10% 이상 빠진다”

▲Mark Thirsk Linx Consulting Managing Partner가 올해 반도체 소재 전망치를 발표하고 있다.   반도체, 인플레이션·경기침체·높은 재고 삼중고 2023년 정체기·3Q까지 소..

2023.05.18by 배종인 기자

image

1Q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32억6,500만 제곱인치…전기比 9% ↓ 2023년 1분기 메모리와 가전제품 수요 감소로 인해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

2023.05.03by 배종인 기자

image

“300㎜ 팹 2026년 월 960만장”

  전력반도체·파운드리 투자 주도 韓 수요 부진, 23%로 하락 전망 아날로그 및 전력반도체, 파운드리의 수요 증가로 인해 300㎜ 팹 투자가 매년 지속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SEMI가 28일 발표한 300㎜ 팹 전망 ..

2023.03.29by 배종인 기자

image

[세미콘 코리아 2023]“반도체·경제 2023년 눌림목”

평균 7% 역성장, 소부장 덩달아 위축 “2024년 업황 회복의 해, 17.5% 증가”   ▲반도체 시장의 주기성(자료:SEMI) 반도체 산업은 롤러코스터처럼 상승·하락의 주기성을 띄고 있다. 2023년 ..

2023.02.03by 권신혁 기자

image

[세미콘 코리아 2023]세미콘 코리아 2023 개막, 반도체 불황 기술로 돌파

▲세미콘 코리아 2023 오프닝   450社 2,100부스·6만여명 참관 전망 반도체 관심 고조 반도체 기술 컨퍼런스, 첨단 기술 공유·기술 한계 돌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도체 업계에 최신 기..

2023.02.01by 권신혁 기자

image

[세미콘 코리아 2023]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한 눈에

20여개 컨퍼런스, 70社·120명 연사 참여 칩메이커부터 소부장까지 450여社 전시 글로벌 팹리스 기업인 AMD부터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키옥시아 등과 같은 칩메이커와 반도체 소부장 기업까지 전 세계 반도체 생태계가..

2023.01.04by 배종인 기자

image

2022년 반도체 장비 매출 1,085억불…역대 최대

▲세그먼트 별 반도체 장비 매출액   3년 연속 최고치 경신, 기록적인 신규 팹 증가 영향 2022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3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첨단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2022.12.13by 배종인 기자

image

2022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47억 제곱인치…신기록 전망

  2023년 둔화·2024년 성장세 지속 예상 2022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강력한 수요로 인해 신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는 2022년 전 세계 실..

2022.11.08by 배종인 기자

image

SEMI, 반도체 산업 CO2 감소 본격화

반도체 기후 컨소시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가입 글로벌 전자 산업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함께 서플라이 체인 전반에 걸쳐 온실 가스 배출 감소에 본격 나선다. SEMI는 최근 반도체 기후 컨소시엄(Sem..

2022.11.03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