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로 검색하여 163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 유니버설 로봇, 위드/포스트 코로나 제조 환경 제시

    2021.09.02by 이수민 기자

    세계 1위 글로벌 협동 로봇 솔루션 기업 유니버설 로봇이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리는 국내 최대 산업자동화 컨퍼런스,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한다. 유니버설 로봇은 국내 제조업체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협동로봇을 활용해 작업환경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 9월8일 차질없이 개최

    2021.08.27by 배종인 기자

    아시아 대표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인 ‘스마트팩토리엑스포+오토메이션월드 2021’가 코로나19 4단계에서 불구하고, 철저한 정부 방역 수칙 준수 하에 차질 없이 개최된다.

  • 파수, 스마트팩토리 AI 시스템 구축 보안 협업 툴 공급

    2021.08.26by 이수민 기자

    데이터 자산에 대한 보안이 강화되며 스마트팩토리 AI 시스템 구축을 원하는 기업이 공급사에 일정 수준의 보안환경 유지를 필수로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져, 안전한 협업이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파수가 임픽스에 클라우드 기반의 외부 협업 플랫폼, ‘랩소디 에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KETI 스마트제조 공정혁신센터,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개발

    2021.08.24by 배종인 기자

    기존의 공장을 자동화하는 개념을 넘어 공장 설계부터 무인자동화까지 연결성과 디지털 트윈을 통한 공정개발로 데이터를 통한 적극적 운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제조 데모공장이 국내에서 운영을 시작해 향후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모델 및 공정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스마트팩토리 연결성 높여줄 OPC-UA, 그리고 TSN

    2021.08.23by 이수민 기자

    스마트팩토리 내 수많은 공정 및 장비 데이터를 연계하려면, 공급자 독립적인 OPC-UA 공장 자동화 애플리케이션 통신 프로토콜 체계를 구축해야 수월하다. 최근 자동화 설비 고도화와 장비 고성능화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커지고 있다. 차세대 산업용 이더넷 표준인 TSN 규격은 실시간성과 시간 결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OPC-UA 프로토콜의 활용도를 ..

  • SKT, 기업 위한 스마트팩토리-클라우드 서비스 강화

    2021.08.17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은 16일, 밸류컴패니언, 보쉬렉스로스코리아와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원스톱 지원을 위한 전문팀을 만든다. 전문팀의 원스톱 지원을 받을 첫 기업은 건강기능식품 기업, 네이처텍이다. 네이처텍은 전문팀을 통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2단계 구축으로 생산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게 됐다. 추가로 SKT는 AI 기반 차세대 클라우드 관리플랫폼, 클라우드 레..

  •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에 나선 LS일렉트릭

    2021.08.05by 이수민 기자

    LS일렉트릭이 2021년 대·중소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를 통해 협력회사 중 15개 사, 국내 일반 중소기업 3개 사 등 총 18개 기업에 멘토링 진행, 로드맵 수립, 공급기업 연결 등 개별 기업의 생산 여건에 맞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한다.

  • 제조 혁신의 상징, 스마트팩토리 "AI 뒷받침 없으면 발전 없다"

    2021.08.03by 이수민 기자

    한국은 미국, 중국, 독일, 일본과 함께 세계 5대 제조업 국가로,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0.4%로 가장 높다. 최근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스마트팩토리 확산이 꼽히고 있다. AI 기술은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핵심 기술로, 관련 기술 개발과 인재 육성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다.

  • 유플러스, AI 기반 공장 설비 예지 보전 솔루션 선봬

    2021.07.29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와 원프레딕트가 공장 설비의 고장과 장애를 미리 진단하고 점검하는 신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출시했다. U+스마트팩토리 설비 예지 보전 솔루션은 AI를 통해 각종 설비를 예지 보전한다. 설비의 진동, 전류,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AI 기술로 분석해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 발생 시기와 잔여 수명을 예측한다.

  • ​KT-한화/기계, 5G 로봇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한다

    2021.07.28by 이수민 기자

    KT, 한화/기계는 스마트팩토리 신규상품 출시 및 제조 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협력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5G에 기반을 둔 스마트팩토리의 사업 주도권을 확보하고, 제조 분야 DX 사업 경쟁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협동 로봇 신규상품 출시, 신규상품 활용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고객사 공동 발굴·사업화, 대..

  • 울산지역 석유화학단지, U+ 스마트팩토리 도입한다

    2021.07.12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와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지역본부는 울산지역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와 산단 내 5G MEC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MEC란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데이터센터를 서비스 현장에 가깝게 배치하고, 5G의 초저지연 특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이번 협력은 과기정통부와 NIA가 추진하는 MEC 기반 5G 융합 서비스 공공부문 선도 적용 사업의 일..

  • 아이보우솔루션, 스마트팩토리 구축 3차원 캐드 선

    2021.05.26by 배종인 기자

    아이보우솔루션이 일반PC에서 100만개 이상의 부품을 쉽고 가볍고, 빠르게 모델링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독자 개발 3차원 캐드(CAD)를 전시회에 소개했다.

  • 엔이에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차별화’

    2021.05.26by 배종인 기자

    엔이에스가 부산국제기계대전에 참가해 차별화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 협동 로봇, 스마트팩토리 전환 전에 고려해볼 만한 이유

    2021.05.13by 이수민 기자

    유럽에선 협동 로봇을 스마트팩토리 전환 초기 단계로서 도입하고 있다. 덴마크의 트렐레보그 씰링 솔루션은 유니버설 로봇(UR)의 ‘UR5’를 생산 현장에 투입하여 생산량을 늘렸고, 사세 확장에 작업자도 추가로 고용했다. 체코의 바움루크&바움루크는 안전장치의 제약이 적은 협동 로봇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자동화 공정을 구현했다.

  • 래티스,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개발 가속할 스택 발표

    2021.05.12by 이수민 기자

    전 세계 산업 자동화 시장 규모는 2027년, 약 367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래티스 반도체는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한국 시장에 ‘래티스 오토메이트’ 스택을 공개하며 저전력 FPGA 기반 솔루션 스택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해당 스택은 지능형 산업 시스템을 통한 미래의 스마트팩토리, 물류창고, 상업용 건물의 자동화를 지원한다.

  • SKT, 동양과 손잡고 산업용 송풍기 관리 분야 진출

    2021.04.01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동양과 스마트팩토리 사업 추진을 위한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동양은 국내 1위 산업용 송풍기 생산 업체다. 송풍기 설비의 핵심 부품인 모터와 베어링에 진동 및 전류센서와 LTE Cat.M1 모뎀을 부착, 원격으로 SKT 메타트론 그랜드뷰 서비스와 연결하는 것이 이번 협력의 핵심이다.

  • 5G 산업생태계 구축 목표로 중장기 정책협의체 발족

    2021.03.25by 강정규 기자

    과기정통부가 5G+ 융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발족 회의를 가졌다. 해당 정책협의체는 2021년도 5G+ 추진계획에 따라, 5G+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구성됐다. 5G+ 관련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협의체는 이날 발족한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외에도 다섯 개의 5G 서비스(스마트팩토리, 실감 콘텐츠, 디지털 헬스..

  • SKT-중진공-KASAD, 제조 中企 디지털 전환 지원한다

    2021.03.19by 이수민 기자

    SKT, 중진공, KASAD 등 3개 기관이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제조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3개 기관은 제조 데이터 활용 및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지원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책자금과 AI 및 클라우드 기술의 통합 지원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 5G B2B BM 발굴, 자동화 산업의 통신 요구사항 파악부터 시작

    2021.03.15by 이수민 기자

    각국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사업 모델을 B2C에서 B2B 분야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했고, 5G 기술은 URLLC 특성을 갖고 있어 산업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5G 기술이 적용될 산업 분야로는 스마트팩토리, 에너지, 메디컬 등이 꼽히고 있다. 모든 산업의 자동화 시스템은 주기성과 결정성을 기반으로 고유의 동작 및 통신 패턴을 지닌다. 5G 제품, 서비스..

  • 지능화 제조업의 중심이 될 'K-스마트등대공장' 모집

    2021.01.08by 강정규 기자

    중기부가 1월 7일부터 2월 19일까지 AI 및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는 ‘케이(K)-스마트등대공장’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신청을 받는다. 스마트등대공장은 WEF이 대기업 위주로 선정한 등대공장을 벤치마킹한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선도형 스마트팩토리다. 중기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제조업 고도화 방향 제시하고, 스마트팩토..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