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의 총괄기관으로 선정되며,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을 선도할 전망이다. ETRI는 연구기관 간 협력을 총괄하며 위성과 지상 간, 위성과 위성 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망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책임자인 이문식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은 연구개발 방향을 이끌게 된다.

▲ETRI가 3GPP의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세계 최초 국제표준 기반 시스템 구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의 총괄기관으로 선정되며,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을 선도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은 최근 발표한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사업에서 주관 연구기관을 확정했다.
해당 사업은 2030년까지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단말국을 포함한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TRI는 연구기관 간 협력을 총괄하며 위성과 지상 간, 위성과 위성 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망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책임자인 이문식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은 연구개발 방향을 이끌게 된다.
ETRI가 맡은 세부1 과제는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 개발로,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쎄트렉아이 등과 협력한다.
세부2 과제는 쏠리드가 담당하며 단말국을 개발하고, 세부3 과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맡아 위성 본체 및 시스템 종합을 수행한다.
또한 KT, KT SA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국내 주요 통신사들도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할 예정이다.
ETRI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재생형 중계기 △탑재체 디지털 신호처리 △위성간 링크 △고효율 위상배열 안테나 등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국제표준화단체 3GPP의 6G NTN 기술을 적용하여 지상과 공중 통신을 통합하는 ‘초공간 통신 시대’를 앞당길 예정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스페이스X, 유텔샛원웹, 아마존 등이 주도하고 있으나, 이들 기업은 독자 기술 기반으로 상호 호환성이 낮아 단말기 종속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반면 ETRI가 개발하는 국제표준 기반의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은 스마트폰처럼 원하는 단말기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개방성과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세계 최초의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검증을 통해 국내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