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반도체 AI 보안 인더스트리 4.0 SDV 스마트 IoT 컴퓨터 통신 특수 가스 소재 및 장비 유통 e4ds plus
차세대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검증 - 텍트로닉스 7 시리즈로 배우는 실전 전략
2025-11-06 10:30~12:00
박영준 상무 / Tektronix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등 최신 기술이 요구하는 고속 인터페이스 검증은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까다로워진 테스트 마진, 길어지는 테스트 시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검증 항목으로 고민하고 계신가요?   텍트로닉스 웨비나에서 이러한 도전 과제를 어떻게 접근 해야할 지 이해하고, 보다 실질적으로 설계 검증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

과기부, 제로 트러스트 도입…보안 수준↑

기사입력2023.07.10 16:45


 
제로 트러스트 원리원칙 가이드라인 발표
자원 각각 분리·보호…암묵적 비신뢰 기반
 
과기부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로 트러스트 보안을 도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작년 10월 국내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제로 트러스트 포럼’을 구성해 글로벌 동향 분석, 자료검토, 토론회 등을 통해 의견을 모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함께 지난 4월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을 발표한 바와 같이 이번에 마련된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을 각 분야로 확산시켜나갈 계획이다.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는 정보 시스템 등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을 때 네트워크가 이미 침해된 것으로 간주한다. ‘절대 믿지 말고, 계속 검증하라(Never Trust, Always Verify)’는 보안 개념이다.
 
이는 비대면 업무가 활성화됨에 따라 새로운 보안모델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판단 하에 나왔다.
 
기존에는 네트워크 내부자에게 암묵적 신뢰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침입자가 내부자와 공모 또는 권한 탈취를 통해 정보시스템에 접속하고 나면 내부의 서버, 컴퓨팅 서비스, 데이터 등 모든 보호 대상에 추가 인증 없이 접속할 수 있어 악의적 목적을 위해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었다.
 
반면 제로 트러스트 보안모델은 서버, 컴퓨팅 서비스 및 데이터 등을 보호해야 할 자원으로 각각 분리·보호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자원이 해킹돼도 인근 자원은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기기 등의 모든 접속 요구에 대해 아이디·패스워드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인증하는 방식이다.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은 제로 트러스트의 △기본 개념 △보안원리 △핵심원칙 △접근제어원리 △도입계획 수립을 위한 세부절차 △도입 참조모델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가이드라인 1.0은 7월10일부터 과기정통부, KISA 및 유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실증사례의 보안 효과성 분석 결과와 변화되는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을 준비하는 등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하반기에 SGA솔루션즈 컨소시엄과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컨소시엄은 올해 6월부터 12월까지 통신·금융·공공 분야 등 다양한 환경에 제로 트러스트 보안모델을 구현한다. 화이트 해커들이 공격 시나리오로 구성된 검증모델을 적용해 제로 트러스트 도입 전후 보안 효과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국민의 일상생활 및 다양한 산업분야로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상황에서 보안체계가 전환되어야 하는 패러다임 전환시기에 이런 상황에 적합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 며, “과기부는 정부·공공 기관 및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보완·고도화하는 한편, 실증 사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로 제로 트러스트 보안모델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