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건 : bluetooth 5.1에서 사용하는 multiple 안테나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ST2 : 아직은 저희 제품에 해당 기능은 없으며, 해당 기능을 탑재하여 내년 정도에 출시 예정입니다.
정*용 : BLE 인증은 어떤가요? 받아야 하나요?
ST2 : 필요시 BT 협회의 SIG 인증과, 각 나라별 인증을 받으셔야 하는데, 대개 인증대행 업체를 이용하시고, 또는 자체적으로 하는 경우 국내는 어떻게든 가능하지만, 해외의 경우 쉽지가 않기 때문에 인증업체에서 인증대행업체를 사용합니다.
전*준 : 데이터를 측정하여 평균,분산,에너지를 계산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평균구할때 특이값(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평균값이 왜곡될 수 있음)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ST3 : 예를 들어 평균의 값이 적합하지 않는 feature인 경우에는 feature에서 제외를 시키던가 아니면 적당한 필터(LPF, HPF)를 활용한 데이터가공이 가능합니다.
이*우 : mlc를 일반가정용으로 응용하려면 무엇이 있을까요?
ST3 : 간단한 예로는 전기포트에 가속도센서를 부착해서 물이 끓는지 아닌지에 대한 인식등과 같이 생활속에서도 많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식 : RF Power 설정을 Low Power 로 설정하면 Data Rate가 감소되나요 아니면 통신 거리에 제한을 받는지요?
ST5 : data rate영향없이 출력 세기에 따라 통신 거리가 영향을 받게 됩니다.
김*진 : DC/DC와 LDO 둘다 지원하는데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ST5 : DC/DC는 효율이 좋아 저전력 구현에 용이합니다. 반면 LDO는 효율이 낮은 대신 용량이 커서 더 높은 출력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수 : 무선 솔루션은 실외에서 사용시 규제가 없나요?
ST1 : 네 ISM 밴드에 대한 규제는 없습니다.
김*규 : Value Line 제품의 뉴클레오보드도 향후 판매가 예정되어 있나요? 내년 초에 BLE 제품군 개발을 착수하는데, 뉴클레오보드가 있어야 개발이 수월할듯 합니다.
ST2 : 현재 STM32WB55 Nucleo Pack이 있으며, 뉴클리오 보드와 USB Dongle보드가 예제와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김*환 : Cybersecurity 관련 구현이나 인증이 되어있나요? 아니면 유저가 구현을 해야 되는건가요?
ST5 : EVITA-Medium 을 만족하는 HSM 이 반도체 레벨에서 제공되고, HSM 구동을 위한 FW 는 직접 구현하거나 3rd party 솔루션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현대/기아자동차 향으로 개발시 현대 오토에버에서 개발한 HSM FW 사용이 가능합니다.
백*학 : 가속도 센서 부품에 낙하등의 신뢰성 보장위해 언더필등의 몰딩을 해도 동작에 영향 없을까요?
ST1 : 가속도센서는 일반적으로 언더필, 몰딩등 센서IC외부에 외력을 일으킬수 있는 공정에 대해 피해주시기를 가이드 드리고있습니다. 오프셋이나 센서성능의 영향을 미칠수있기떄문입니다.
이*환 : QSPI FLASH에서는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려면 초기화과정만 내부 플래쉬에서 수행해 주면되는 건가요? 아니면 BOOT핀등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필요한건가요?
ST3 : 내부 Flash에서 코드로 수행하시면 됩니다.
무* : 최근 STM32CubeF4/F7등에 LL_Driver가 추가되었던데, 이 부분이 HAL을 이용하지 않고, 과거 Peripheral Library 수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인가요?
ST3 : 네 맞습니다. 빠른 응답성 및 바이너리 사이즈 에 강점을 가집니다.
전*중 : Wireless Module 개발에 적절한 MCU가 어떤것들이 있나요?
ST2 : STM32L0시리즈를 추천드립니다.
고*상 : 세미나 잘 들었습니다. 다만 아슁운 점은 내부 RTC의 전력이 생각보다 커서, MCU의 저전력 성능이 반감된다는 점 입니다.
ST2 :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참고로, STOP모드에서 RTC운용에 필요한 소모전류는 대략 400nA정도 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용*중 : Iot에 관심과 스킬업 하고싶은데 어떤보드가 가장적합할까요
ST1 : BLE, MEMS센서, Wi-Fi 보드가 있습니다. www.st.com/stm32ode-fp 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오*석 : 개발 커뮤니티 url 부탁드립니다
ST1 : 현재 한국 포럼은 준비중에 있으며, 영문 커뮤니티는 www.openstm32.org 가 있습니다.
정*호 : emWin으로 PNG 파일을 NAND에 넣고 LCD로 뿌려봤는데 너무 느리더군요. MCU는 F429를 사용했고 168Mhz로 동작 시켰습니다. 혹시 좀더 빠르게 뿌릴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ST1 : Filesystem을 통해 이미지를 가져오기에 오버헤드가 더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외부 메모리를 NOR타입으로 바꾸실 수 있을경우, 파일 시스템 없이 이미지를 Raw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불러오는 형태면 더 빠르게 Display하실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이*우 : 지원가능 MCU List 에 대한 자료는 어디를 봐야 하나요?
ST1 : S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LCD 지원하는 모든 MCU 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주*규 : M4의 FPU와 성능을 비교 하면 속도와 정밀도는 어떤가요?
st3 : 코어성능은 약 70%정도 향상되었습니다.
서*준 : DCMI는 어떤 인터페이스 방식의 이미지센서를 연결할 수 있나요?
st3 : Digital camera interface 방식 입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