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4by 이수민 기자
마우저가 NXP의 i.MX 8M Plus 평가 키트를 공급한다. 이 키트는 i.MX 8M Plus 임베디드 멀티 코어 이종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위한 완전한 평가 플랫폼을 제공한다. i.MX 8M Plus 프로세서는 i.MX 제품군 중 최초로 IoT 및 IIoT 애플리케이션 에지에서 고급 머신 러닝 추론을 위한 전용 NPU를 탑재했다.
2021.03.28by 이수민 기자
IIoT 애플리케이션이 신뢰할 수 있는 IoT 시스템에서 보안이 강화된 IoT 시스템으로 진화 중이다. 보안이 강화된 IoT 솔루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심지어 IoT 클라우드 서비스를 포함하는, 수많은 개별 요소들로 구성된다. 적합한 하드웨어를 선택하면 BOM을 줄이고 부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적합한 보안 인프라는 시간이 흘러도 비용이 크게 들지 않고, 성장에 요구되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2021.03.25by 이수민 기자
IoT 기술의 발달로 기업과 기관은 기존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수십에서 수백만의 IoT 노드가 지속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일은 쉽지 않다. 조직은 높은 효율과 빠른 응답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 리티 알고리즘으로 구동하는 시스템이 채택하는 것은 이를 실현하는 방법 중 하나다.
2021.03.16by 이수민 기자
IDC에 따르면, IT/OT 관리자의 48.8%가 IT/OT 융합의 가장 큰 장벽으로 보안을 지목했다. 이에 모싸는 산업용 네트워크 보안과 관련한 IEC 62443-4-1 인증을 받았다. 해당 인증은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용 보안 제품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보안 개발 수명 주기를 정의한다.
2021.03.03by 이수민 기자
마우저가 피닉스컨택트의 싱글 페어 이더넷(SPE) 커넥터를 공급한다. 피닉스컨택트 SPE 커넥터는 PoDL을 통한 단일 전선 쌍으로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및 전원을 병렬로 전송하는 고성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2020.12.10by 이수민 기자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TSN)은 표준 이더넷에 지연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여 대규모 통합 산업용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정확한 시점에 적재적소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모싸는 자일링스가 함께 산업 자동화와 대량 맞춤 생산을 위한 TSN 기술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0.11.11by 이수민 기자
설비 자체가 이상을 판단하고 경고하는 종단 지능화를 구현하면 제조업 생산성 향상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단 지능화가 이뤄져도 PLC와 설비가 케이블로 복잡하게 연결된 상태면, 문제를 알아도 신속한 대처와 복구가 어렵다. 이에 맥심이 소프트웨어로 PLC 단자대 IO를 조정할 수 있는 레퍼런스 설계를 공개했다.
2020.11.06by 이수민 기자
ABB가 응용 분야별 자산과 에너지를 관리하여 운영 비용을 최대 40%까지 절감하는 'ABB 어빌리티 에너지 자산 관리자' SaaS 솔루션을 발표했다. 기존 'ABB 어빌리티 EDCS', 마이리모트케어' 솔루션과 기능은 같지만 단일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로 접속이 간편하다.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설비 성능 데이터를 검토 및 분석하고, 자산 관리를 통해 실시간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다.
2020.11.02by 이수민 기자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LG이노텍의 ETWBCLU03, ETWBCLU01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의 핵심 프로세싱 성능과 무선 연결 기능을 위해 자사의 nRF52833, nRF52810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2020.10.30by 강정규 기자
양 사는 2018년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이후 250여 곳의 신규 고객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 온데 이어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고 2023년 이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합의를 통해 양사는 제품 판매 및 개발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하고, PTC의 제품 수명 주기 관리 및 SaaS 제품에 대한 협력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설계에서부터 운영, 유지보수, 수명주기 최적화 단계 전반을 지원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스레드 솔루션 상용화 절차가 간소화될 예정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