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 ICT 분야 미래 유니콘 육성에 착수

    2020.02.17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 프로그램인 ICT GROWTH를 추진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서울보증보험, 본투글로벌센터 등 4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CT GROWTH 프로그램은 정부와 민간 자원을 결합하여 고성장 ICT 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 및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한 것으로, 올해부터 매년 15개사 내외를 선정, 2025년까지 총 50개사를 선정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 데이터 기반 AI 뇌파 분석으로 치매 가능성 판별하는 솔루션, 어떻게 개발됐을까?

    2020.02.14by 이수민 기자

    아이메디신은 뇌파를 분석하여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가능성을 판별하는 아이싱크브레인을 2019년 개발했다. 뇌파를 측정하여 치매 등을 진단하는 방식은 수년 전부터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건강인의 뇌파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적절한 솔루션이 개발되지 못했다. 국표원은 2011년부터 건강인 1,300여 명의 뇌파 데이터를 축적했고, 2018년에는 아이메디신이 데이터 거래를 통해 이를 이전받아 AI를 접목하여 아이싱크브레인 개발에 성공했다.

  • ​메모리반도체용 하드마스크 소재 국산화에 성공

    2020.02.13by 이수민 기자

    DCT 머티리얼과 나노종합기술원이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高종횡비 구조의 메모리반도체용 스핀코팅 하드마스크 소재의 기술자립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하드마스크는 반도체 미세회로를 새기는 포토마스크의 보조재료로,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턴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만드는 공정재료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기존 제품보다 평탄화 특성과 가격경쟁력이 우수하여 그동안 일본 등 외국에 의존했던 메모리반도체용 하드마스크 소재의 국산 대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 ​물체 표면 정보 표시하는 압력 디스플레이 개발돼

    2020.02.13by 이수민 기자

    ETRI와 서울대 연구팀이 나노 복합소재를 이용해 기존보다 민감도가 최대 20배 높은 초고감도 투명 압력 센서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센서 물질로 나노 소재를 이용하고 이를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적층 구조에 응용해 감도를 높이면서도 압력분포를 바로 볼 수 있게 개발했다.

  • MWC, 코로나19 여파로 33년 만에 개최 취소

    2020.02.13by 이수민 기자

    MWC 2020이 결국 열리지 않는다. GSMA의 존 호프만 CEO는 12일, 오는 24일부터 나흘간 진행될 예정이었던 MWC 2020의 공식취소를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우려에 따른 것이다. 10일까지만 하더라도 GSMA는 개최 의지를 계속해서 보여왔다. 그러나 몇몇 유력 업체들이 잇따라 불참을 선언하자 개최를 취소하게 됐다.

  • 삼성전자, 5G SA 지원 '갤럭시 S20'와 두 번째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 공개

    2020.02.12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0를 열고 갤럭시 S20 시리즈와 두 번째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 그리고 무선 이어폰 갤럭시 버즈+ 공개했다. 3종으로 출시되는 갤럭시 S20 시리즈는 모두 5G를 지원하며, 5G SA를 지원할 예정이다. 국가별 5G 네트워크 구축 환경에 따라 저주파와 초고주파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 스마트팩토리에 5G, 정말로 필요한 걸까?

    2020.02.05by 이수민 기자

    정부가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한창이다. 이동통신 3사는 5G를 상용화하며 첫 고객으로 일반 소비자가 아닌 산업계를 택했다. 특히 KT는 5G가 산업계에서 어떻게 활용될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CF로 내보냈다. 과연 5G는 스마트팩토리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가?

  • RISC-V 솔루션 채택 전에 파악해야 하는 보안 이슈들

    2020.02.04by 이수민 기자

    RISC-V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기반 개방형 명령어 집합(ISA)이다. 무료면서 개발자가 원하는 설계 방향대로 성능에 맞게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유명 반도체 기업들이 RISC-V 기반 프로세서를 하나둘 출시하면서 RISC-V 보안에도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RISC-V 기반 프로세서가 주로 채택되는 IoT 기기 및 시스템에서 보안은 그 어떤 애플리케이션보다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 2020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에 5,000억 원 투입

    2020.02.01by 이수민 기자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에 총 4,925억 원이 투입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0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지원계획을 통합공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4,150억 원을 투입해 5,600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할 계획이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