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 : 실내 공기질 센서라고 하면 VOC 센서가 먼저 떠오르거든요. VOC 센서로 CO2도 간접적인 측정을 할 수는 있는데, 인피니언의 CO2 센서의 측정치가 그보다는 정확한거겠죠? 가격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나요?
Infineon_1 : 반도체 방식의 VOC센서는 CO2를 직접측정하는것이 아니라, VOC를 측정하여 CO2를 간접 추정하는데다가, VOC이외에도 습도나 다른 가스에도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농도 측정의 정확성은 매우 떨어집니다. PAS CO2센서는 PAS 방식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직접 측정합니다. Infineon PAS CO2센서의 accuracy는 +/-30 ppm +-3 % of reading 입니다. 가격 관련해서는 인피니언 대리점을 통해 문의 부탁드립니다.
박*상 : Infineon PAS CO2센서의 측정 능력은 어느 정도인지요? 정확도와 측정범위가 궁금합니다.
Infineon_1 : Infineon PAS CO2 센서의 측정범위는 400~32,000ppm 이고, accuracy는 +/-30 ppm +-3 % of reading 입니다.
이*진 : 설명해주신 솔루션이 실제 국내외 자동차 생산업체에서 적용이 되고 있는지요? 아니면 자동차 악세사리 제품 생산업체에 적용이 되고 있는지요?
Infineon_1 : 국내/국외, 차량 내부 Built-In 구조로 적용되는 모델이 있으며 Aftermarket으로 차량용 악세서리 (즉, CLA (시가잭통한 PD 충전기) 제품들이 개발 및 양산 적용중에 있습니다.
조*익 : CC1핀에 풀업저항을 하는지, 아니면 풀다운저항을 연결하는지에 따라 연결 접속이 다른지 문의 합니다
Infineon_3 : CC1/2 핀에 풀업 저항이 연결되었을 경우 Power Source 로 동작하며 풀다운 저항이 연결되어있는 경우 Power Sink로 동작하게 되어있습니다.
문*웅 : 질문] Infineon 레이더가 타사의 센서와 비교하여 지니는 우수한 성능과 고유한 성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Infineon_1 : 어두운 환경이나 짧은 가시거리 환경, 그리고 실외의 가혹한 온/습도 환경에도 타 센서에 대비하여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 또는 오프닝 윈도우 없이도 시스템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 할 수있습니다. 또한 안테나를 내장하여 작은 사이즈로 많은 디바이스기기에 쉽게 적용이 가능 합니다.
지*호 : [질문]레이더 센서 솔루션을 스마트빌딩에 적용 시, 타 솔루션과 비교하여 구축 비용은 어떻게 되는지요? 레이터 센서를 통한 위치 정보 등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 고려 사항은 무엇인지요?
Infineon_4 : 레이더 센서 솔류션을 이용한 스마트빌딩 구축에 필요한 비용은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다르게 산출합니다. 또한 타 솔루션 (예, 카메라, PIR 센서)과 비교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요구조건의 필요합니다. 레이더를 위한 위치 추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는 레이더 설치 위치 및 레이더 레이돔 물질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 프로세싱 측면에서는 감지 정확도 및 위치 추정 프로세싱의 최적화(예 CFAR 파라미터 설정)과 트랙커 사용(추적기 예 Kalman Filer)를 이용한 위치 보정이 있습니다.
김*식 : 아울러, 자율주행에서의 센서 역할을 하는 LiDAR/RADAR/Camera 의 가장 critical한 보안 issue 및 해결책은 어떻게 되나요?
Infineon_1 : 개인적으로 해당 시스템에서 critical한 부분이라고 생각 되는 부분은 데이터 관련일것이라 생각합니다. 수많은 데이터를 외부 센서에서 받아 처리되기 때문에 센서 데이터의 무결성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김*열 : 보안의 의미가 내부 인터페이스 간의 보안과 차량과 외부와의 통신 보안 둘다 말하는 건가요?
Infineon_1 : 네 맞습니다. 보안은 어느 한부분에 특정되지 않으며, 모든 부분에 다 관련 되어져 있는 부분입니다. 가장 취약한 부분이 차량 외부 인터페이스, 내부 인터페이스 부분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이 인터페이스들이 뚫렸을 때를 대비하여 내부적으로 보안 기능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대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합니다.
문*웅 : 질문] OTA(Over-the-air)를 효율적으로 구현하려는 경우 TRAVEO T2G 아키텍처 관련하여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infineon_1 : OTA 개발을 위해선 일반적으로 Root of Trust chain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자주 update 하는 FW에 대해 어떻게 파티셔닝을 하느냐가 중요해 보입니다.
김돌*** : T2G 기술은 오릭스 TC3xx의 HSM에도 적용되나요?
Infineon_2 : 오릭스 TC3XX의 HSM도 Evita Full 을 베이스로 하고 있지만, 구현방법에 있어서는 T2G HSM과는 다른점이 있습니다.
이*수 : 2개의 OCD로 인해 회로 보호에 탁월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것 같네요
Infineon_4 : 2개의 OCD핀 제공이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임*수 : 저항식 전류센서로는 0~2000A의 넓은 범위를 커버하기 어려우니, 저항식에 비해서는 측정 전류의 범위가 넓다는 점이 장점이겠네요. 낮은 전류에서는 아무래도 저항식이 유리하겠고요.
Infineon_4 : 네 맞습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고전류 영역대에서 좀 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민 : 타사에 비해 인피니언사만의 SiC 특징에 대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fineon_1 : 1) 문턱전압이 타사보다 1~2V높다 (4.5 typ) 2) short circuit 내량을 데이터 시트에서 보증하고 있다 가장큰 차이는 이정도가 될것 같습니다.
: SiC FET를 적용하게 위해선 기존 Gate Driver다른 전용 Device를 사용해야 되는지요?
Infineon_2 : SiC Mosfet의 경우 별도의 gate IC를 필요하지 는 않습니다. 다만 gate peak current가 작은 경우 빠른 SiC Mosfet의 충분히 빠르게 빠르게 켜지못해 loss가 줄어드는 효과가 줄수 있습니다. 다만, 소자 보호를 위해 desat기능이나 Itrip기능이 좋은 제품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렬 : iMOTION 엄청난거 같은데요 어떠한 모터라도 다 제어가 되는건가요?
infineon_1 : 인도에서는 induction 모터가 일반적으로 천장형 fan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open loop로 제어가 가능하고 , BLDC 3 상의 경우 i-motion 제어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수 : 소형 모터 제어를 위한 인버터를 설계할 떄 사전에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요소들은 무언인 지 설명해 주세요
Infineon_2 : 가장 많이 검토하는 항목이 사이즈 & 가격 & 효율 이 될것 같습니다. 모든것을 다 만족하면 좋겠지만 아니라면 시장에서 가장많은 demend를 우선해서 검토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김*환 : 모터 제어 파라미터나 캘리브레이션은 어떻게 수행 하나요?
Infineon_4 : 인피니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예제와 GUI에서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변경해가며 구동하는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김*길 : 기존 MCU대비 기능안전등급 부분은 어떻게 Cover가능한가요?
Infineon_3 : 임베디드 파워IC는 QM등급이며, FIT rate를 제공하여 높은 기능안전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부분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이*민 : eSIM의 SLM97 보안 컨트롤러는 어떤 기능들을 제공하나요?
Infineon_4 : SLM97은 Industrial grade 제품이며, 지원 되는 Temperature rangfe는 ( -40 ~ 105)인 Security HW Controller입니다.
김*식 : 현재 한국에는 어떤 사업자가 함께하고 있나요?
Infineon_5 : TATA는 현재 한국에서 이미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으며, 단순한 예로 자동차,축산,공유서비스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사업자의 이름은 NDA로 되어 있습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