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전체보기 기술 동영상 기술 문서 키 웨비나 베스트 댓글
“노이즈 설계, 이렇게만 하면 끝! 신입 엔지니어를 위한 전원 패턴·배선 실전 가이드”

2025-07-15 15:00~18:00

e4ds / 조성재 교수

  • 이*민2025-07-15 오후 3:44:13

    여기.. 저기.. 회로상 위치를 말씀하시는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화면에 바로 보이지 않아서 좀 아쉽네요..^^\;\;
  • e4ds012025.07.15

    동영상 편집에서 말과 화면이 조금 일치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다음부터는 조금더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 박*차2025-07-15 오후 3:44:13

    LDO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조합해 저노이즈 전원을 구성할 때, 각 소자의 위치나 배선 흐름에서 주의해야 할 설계 포인트가 있는지요?
  • e4ds012025.07.15

    고효율을 위해서 먼저 스위칭으로 전압을 변환한후에 저잡음이 필요한 곳에 다시 LDO를 이용하여 전원을 만드는 방법이 좋습니다. 배선은 지금의 설명을 들어두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임*혁2025-07-15 오후 3:43:42

    [질문] 소규모 제조기업에서 신입 엔지니어가 PCB 설계를 진행할때 효과적인 노이즈 설계를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점을 한가지 꼽자면 무엇인지 설명부탁드립니다.
  • e4ds012025.07.15

    노이즈 문제를 한가지로 딱 집어서 말씀드릴수 없습니다. 오늘 강의를 잘 들어보시고 현재의 상황이 어느것에 해당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최*은2025-07-15 오후 3:42:42

    전원 패턴을 최소화하는 것과 신호 간섭을 줄이는 것 사이에 설계 우선순위를 어떻게 두어야 하는지요?
  • e4ds012025.07.15

    말씀하시는 신호간섭이 전원의 간섭을 뜻하는 것인지 아니면 회로의 신호 간섭을 뜻하는 것인지요?
  • 이*래2025-07-15 오후 3:40:36

    [질문] 노이즈 억제를 SW로만으로도 충분히 제어 가능한 유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e4ds012025.07.1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이즈에는 RE, CE, 전원잡음이 있는데 어느 것을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 박*차2025-07-15 오후 3:40:15

    [질문] 단순 접촉으로는 잡히지 않는 물리현상을 어떻게 보완하는지요? Surface-to-Surface Contact와 Cohesive Contact의 핵심적인 차이는 무엇인지요?
  • e4ds012025.07.15

    제가 이 질문을 이해못해서 답변을 드릴수가 없습니다. 조금 구체적으로 질문해주시겠어요?
  • 주*원2025-07-15 오후 3:39:17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임*혁2025-07-15 오후 3:36:17

    유익한 웨비나인것 같습니다.
  • e4ds2025.07.15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좋은 내용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응원 바랍니다.
  • 김*숙2025-07-15 오후 3:31:19

    멀티보드 시스템에서 보드 간 전원 노이즈가 커플링되는 현상을 자주 겪습니다. 이런 경우에 효과적인 격리 기법이나 보드 간 노이즈 억제 전략이 있는지요?
  • e4ds012025.07.15

    전원노이즈가 커플링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패턴과 커넥터에 의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 설명하는 부분을 잘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 백*옥2025-07-15 오후 3:30:59

    해당 C2 부품이 SMD 형태라면, 물리적으로 패턴이 추가될 수 밖에 없을 듯 한데, 이 경우, BOTTOM면으로 VIA를 생성하고 COPPER 처리를 해도 되나요?
  • e4ds012025.07.15

    전류가 클 경우에 물리적으로 패턴의 폐루프를 작게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법은 어떻든 폐루프를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그러나 VIA를 생성하고 COPPER처리를 하더라도 이 경우에도 폐루프 면적이 어떻게 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