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5G SA 기반 異기종 장비 연동 시연에 성공한 U+

LG유플러스는 5G SA 표준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비회사에서 만든 코어 장비와 기지국 장비, 부가장비 등을 연동해 5G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같은 제조사의 SA 기반 기지국과 코어 장비 연동 시험이 성공한 적은 있었지만, 삼성전자, 에릭슨처럼 ..

2019.11.05by 이수민 기자

image

마우저, 마이크로칩 1GHz 이하 대역 RF 모듈 공급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의 SAM R30 Sub-1GHz 모듈을 공급한다. SAM R30 모듈은 중국의 780MHz, 유럽의 868MHz, 북미의 915MHz 등 전 세계 1GHz 이하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최대 수신 감도 -..

2019.11.05by 이수민 기자

image

다쏘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미래형 디지털 인프라 강화

다쏘시스템과 삼성 SDS가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해 새로운 대외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선다. 이를 위해 양사는 IT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글로벌 성공사례에 바탕을 둔 기술을 상호연계해 디지털 연속성을 통한 기업..

2019.11.04by 최인영 기자

image

올해로 3돌,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19' 개최

삼성전자가 4일부터 5일까지 삼성 AI 포럼 2019를 개최한다. 첫째 날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주관으로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둘째 날은 삼성리서치 주관으로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각각 진행된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삼성 AI 포럼은 세계적 AI 석학들을 초청..

2019.11.04by 이수민 기자

image

슈나이더 일렉트릭, 원격 보안 모니터링 센터 오픈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서울에 원격 사이버 보안 모니터링 센터를 개소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원격 사이버 보안 모니터링 센터는 제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인가되지 않은 장비의 접속 및 악성코드의 침입, 비정상 활동이 감지될 때마다 고객에게 알림 메시지를 ..

2019.11.04by 이수민 기자

image

U+, 5G MEC 기반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구축한다

텔레프레즌스는 원거리에 위치한 사람들이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각자의 모습을 홀로그램과 같은 VR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업체 더블미와 5G 기반 실시간 텔레프레즌스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텔레프레즌스 구현을 위..

2019.11.04by 최인영 기자

image

유블럭스, 블루투스 5.1 지원 BMD-360 모듈 출시

유블럭스는 블루투스 모듈 신제품으로 BMD-341, BMD-345, 그리고 BMD-360을 발표했다. 블루투스 5.1 사양을 충족하는 BMD-360 모듈은 장거리 비콘 애플리케이션, 스마트빌딩·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자산인식 태그, IoT 인프라, 물류 및 기타 다양한..

2019.11.04by 이수민 기자

image

부산항, 올해 말부터 5G 스마트항만으로 진화한다

LG유플러스, 부산항만공사,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 서호전기, 고등기술연구원과 ‘5G 기반 스마트항만 크레인 자동화 사업협력’ MOU를 체결했다. 각 협력 주체는 이번 MOU를 통해 5G 통신을 활용한 항만 크레인 원격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항만 크레인 원격제어를 위..

2019.11.03by 이수민 기자

image

"음성에 이어 영상도 AI로 분석한다" 자일링스-SKT, AI 추론 분야에서 협력 강화

AI를 기반으로 물리적 무단침입 감지를 실현하려면 수백만이 넘는 상업용·가정용 카메라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빠르고 정확한 AI 가속기가 필요하다. 자일링스는 SK텔레콤의 무단침입 감지 서비스 '티뷰'에 자사의 데이터센터 가속기 카드가 사..

2019.11.01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