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08
남몰래 배우는 IT English - Let me know if there are any changes ...(~에 변경이 있다면 저에 게 알려주세요.)
2016.08.05by 신윤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 개방형 충전소 착공식을 열고 총 2천억 원 규모의 한전 주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구축 방안에는 개방형 충전소를 연내 총 150개 부지에 급속 충전기 위주로 300기를 구축하고 대규모 플래그십 충전소를 연내 5개소를 만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아파트형 충전소는 공모, 평가, 선정을 거쳐 4천개 내외 단지에 완속 3만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016.08.05by 신윤오 기자
융합서비스는 초연결 사회 구현을 위해 사물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업융합, 공공융합, 스마트라이프 각 분야에 사물인터넷 및 지능정보기술 등 ICT를 결합한 서비스 제공 기술을 말한다. 2015년 이전 융합 기술은 기술 중심의 단말(H/W), 연결(N/W)이 특징이며 센서 및 ICT 활용, 산업내 융합이 주요 이슈였다. 하지만 2016년 이후의 융합기술은 서비스 중심의 지능형 솔루션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S/W)이 특징이며 ICBM, 지능정보기술 기반 표준 플랫폼을 활용한 생태계 구축 및 산업간 융합 활성화가 주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다시 말해 초기에는 서비스별 대표 플랫폼으로 이합 집산하다가 후기에 Winning 플랫폼 중심으로 산업간 통합/연계 방식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2016.08.05by 신윤오 기자
TI코리아(대표이사 켄트 전)가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Isolated gate driver)는 최근 저압과 고압을 오가는 애플리케이션이 급증하면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소자이다. 차세대 산업이 산업 자동화와 제어 분야로 전환되고 있고 이들 분야의 에너지 효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력 디바이스가 고전압으로 올라가면 노이즈 또한 상승해서 필수적으로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많은 반도체사들의 신제품 출시가 부쩍 늘었다. TI가 이번 신제품을 내면서 단서를 붙인, “고전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업계에서 가장 “빠른”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라는 수식어도 따지고 보면 이들 업체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노력이 담겨있다..
2016.08.04by 신윤오 기자
삼성전자가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삼성 갤럭시 언팩' 행사를 열고 '갤럭시 노트7'을 공개했다. 2011년 5인치대 대 화면과 S펜(Pen)을 탑재해 새로운 모바일 카테고리를 창출한 '노트' 시리즈의 6번째 제품인 이번 '갤럭시 노트7'은 공개 전부터 전 세계 미디어와 소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갤럭시 노트7’은 시리즈의 6번째이지만, 숫자 ‘6’를 건너뛰고 최종 ‘7’으로 제품명을 정했는데, 이는 상반기에 출시된 '갤럭시 S7'과 숫자를 통일해 보다 쉽고 일관성 있게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서다.
2016.08.04by 김수지 기자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높일 새로운 분리막이 개발됐다. 기존 이온 통로로만 쓰이던 분리막을 화학작용에도 관여하게 만든 ‘화학적 기능성막’이다. 전지 성능을 떨어뜨리는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걸러낼 수 있어 고성능 리튬이온전지 제조에 기여할 전망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의 김병수 교수와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 공통 연구팀은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가 도입된 ‘화학적 기능성막’을 개발했다.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는 나무에서 얻은 셀룰로오스를 합성한 분자체를 통해 기능화시킨 물질이다. 이 덕분에 분리막도 화학작용에 참여해 불순물을 걸러내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2016.08.02by 신윤오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7월 26~28일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APG-19 1차 총회에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위규진 박사가 'APG-19 총회 의장'으로, 국립전파연구원(RRA) 김경미 기술기준과장이 'WP2(이동통신작업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WRC(세계전파통신회의)는 세계 각국의 정부 및 민간의 전파분야 관계자가 4년마다 모여 국제 주파수 분배, 글로벌 이동통신 주파수 지정, 국가 간 간섭방지기준 등 전파분야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최고의결회의이며, APG-19는 WRC-19(2019년, 스위스 제네바)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입장과 이해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아태지역 국가들의 공동의견을 조율?형성하기 위한 아태지역의 WRC 준비회의체이다.
2016.08.02by 신윤오 기자
한국형 스마트공장의 개념이 IoT, CPS(사이버물리시스템) 기반 자동화에 디지털화가 융합된 형태로 정립되면서 스마트 제조 8대 기술의 윤곽도 드러났다.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단장 박진우)은 한국형 스마트공장의 정의를 중소 제조업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ICT로 통합하여 최소비용과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라고 정리했다. IT 기술 활용 정도 및 역량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 스마트 공장의 핵심 기술은 ▲스마트 응용 시스템 ▲과학적 제품과 공정 기술 설계 및 개발 ▲인텔리전트 제어자동화 ▲IoT 디지털 측정 및 디스플레이 ▲IoT 기반 스마트공법 개발 등이다. 기반 기술은 보안,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등 ICT 기반의..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