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까지 IoT 커넥티드 기기 수, 연평균 23%로 성장

    2016.06.29by 홍보라 기자

    2015년에서 2021년 사이에 셀룰러 IoT는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IoT 커넥티드 기기의 수는 연평균 23%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까지 약 280억 개의 커넥티드 기기가 생겨나고 이 중 IoT 기기는 약 160억 개에 달할 것이다. 서유럽에서는 2021년까지 IoT기기의 수가 4배까지 증가하며 IoT시장을 이끌 것이다. 주로 인텔리전트 유틸리티 미터와 2018년에 구현될 EU e-콜 지침을 포함한 커넥티트 카와 같은 수요에 대한 규제당국의 결정이 이러한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 뱅앤올룹슨, 우아한 돔 모양의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 발표

    2016.06.28by 장은성 기자

    홈 엔터테인먼트 브랜드 뱅앤올룹슨(Bang&Olufsen, B&O)이 자사의 제품 가운데 가장 작은 사이즈의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 ‘베오플레이 A1(BeoPlay A1)’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베오플레이 A1’의 주요 타깃은 모험적인 성격이 강하고, 실내뿐만 아니라 캠핑, 여행, 레저 등 야외활동 시 음악을 즐기는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이들이다. 덴마크의 산업디자이너 세실리에 만즈(Cecilie Manz)가 디자인했으며, 우아한 돔 모양의 스피커 커버에서 360도 방향으로 동일한 사운드를 구현한다. 색상은 모스 그린(Moss Green), 내추럴(Natural) 두 가지이며 가격은 36만원이다.

  • 자동차용 전기 모터 특허출원 5년 사이 56% 증가해

    2016.06.27by 김수지 기자

    전기모터는 선풍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우리 생활에 익숙한 가전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 분야로의 적용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전기모터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자동차 및 가전제품에 관한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모바일 기기에 사용하는 진동모터와 열차 및 직선 이동기기 등에 사용되는 선형모터에 관한 출원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자수첩] 공공 수요용 드론 시장 선점하지 않으면 중국에 모두 뺏길 것

    2016.06.27by 신윤오 기자

    전체 항공기 시장에서 무인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은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전체 무인기 시장은 2025년에 125억 달러로 연평균 10%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 무인기 시장은 2022년에 5.25억 달러로 연평균 22% 증가한다는 예측이 그것입니다. 무인기 시장의 대부분은 군용이지만 민간시장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군용 무인기는 2023년 115.9억 달러로 증가(연평균 9%)하지만 민수 무인기는 2023년이면 8.8억 달러로 무려 연평균 35%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특히 민간 상업용 소형 무인항공기는 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률안 마련으로 중장기적인 수요 급증이 예상됩니다.

  • [기업 리뷰] 디엠비테크, 오디오 및 조명용 IC 세계 최고를 향해

    2016.06.27by 신윤오 기자

    디엠비테크놀로지(대표 류태하)는 BCD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전력 반도체 팹리스 기업이다. 전력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시장과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디엠비 테크놀로지는 2016년 해외시장의 성공적 진입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성장기에 들어선다는 계획이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은 DTV용 디지털 오디오 파워 증폭기 IC와 LED 조명용 다이렉트 AC 드라이브 IC 등이다. 2007년 국내 최초 BCD 기반 파워 IC를 양산했다. BCD는 Bipolar, CMOS, DMOS 등 3가지 종류의 반도체 소자를 단일 실리콘에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에는 국내 최초로 700V BCD 기반 LED 조명 드라이브 IC를 양산했다. 2015년에는 풀 디지털 앰프(Full Digital Amp)..

  • 뛰는 로봇 산업, 기어가는 부품 기술 ‘국산화율 20% 미만’

    2016.06.27by 신윤오 기자

    인공지능 기술 관심으로 촉발된 로봇 분야의 부품 국산화율이 최근 3년간 통계에서 50% 미만이며, 특히 주요 핵심부품은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은 크게 제조용, 전문서비스용, 개인서비스용으로 나누는데 2014년 발표에 따르면, 제조용 로봇은 9.5B(64%),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3.6B(24%), 개인 서비스용 로봇은 1.7B(12%)을 차지했다. 이들 로봇에 대한 국내 부품 시장 규모는 총 매출이 3,962억 원으로 전체 부품에서 13.9%를 차지했으나 부품 수입 측면에서는 50.1%를 수입에 의존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 등 핵심 부품의 절반을 수입해서 썼다는 얘기가 된다. 이는 센서, 제어기, 구동기 부품으로 구분되는 로봇 핵심 부품을 만드는 기업이 국내에 ..

  • 온습도 환경 등 사계절 자동제어로 키운 버섯, 스마트팜 활용했어요

    2016.06.24by 장은성 기자

    KT는 농업회사법인 지엔바이오(대표 김영찬)와 협력해 국내 최대 규모의 ‘이슬송이버섯 스마트팜’을 구축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가 구축한 이슬송이버섯 스마트팜은 돔하우스 11동(1,800m2) 규모로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에 위치해 있다. KT GiGA 스마트팜 솔루션이 적용돼 온도, 습도, CO2 등 생육환경을 사계절 자동제어 가능하다. 또한 이슬송이버섯 스마트팜은 최적의 생육환경 조건으로 자동화 재배가 가능한 ‘이슬송이버섯 스마트팜 솔루션’ 개발에 활용된다.

  • 건강한 수면 습관 위한 개인 맞춤형 ‘수면 일정 관리 기능’ 출시

    2016.06.24by 김수지 기자

    헬스 및 피트니스 분야를 이끌고 있는 신개념 스마트 헬스케어 브랜드 핏비트(Fitbit, Inc.)가 전세계 수백만 명의 핏비트 사용자들의 숙면과 건강 개선을 위해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수면 기능을 새롭게 선보인다. 수면은 당뇨병이나 비만과 같은 심혈관 질환 예방부터 정신 건강 및 장수[1]를 위한 신경계 기능 개선까지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다. 핏비트 앱과 핏비트의 활동량 트래커를 통해 새롭게 이용이 가능한 수면 일정 관리 기능은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 ST마이크로와 아두이노, STM32 MCU 및 센서에 대한 협력 체결

    2016.06.23by 김수지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와 교육, 메이커, IoT(Internet-of-Things) 시장을 위한 세계 최고의 오픈-소스 에코시스템의 아두이노(Arduino)는 업계 선도적인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제품군 및 ST의 모든 센싱, 전력, 커넥티비티 기술로 아두이노 메이커 커뮤니티에 더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타(STAR; ST and Arduino) 프로그램의 첫 제품인 STM32F469-기반 STAR 오토(Otto) 베이스보드는 지난 5월 20일~22일까지 열린 베이 아레나 메이커 페어(Bay Area Maker Faire)에서 처음으로 시연되었다. IoT 개발자 및 메이커들은 액세스가 쉬운 하드웨어 및 소프트..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