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연, CO2 저감 기술 미국에 전수

    2024.07.01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통해 창출한 고유의 탄소 저감 기술을 북미 최대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인 KBR(Kellogg Brown & Root)에 기술이전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기술이전 성과로 우리나라 화학 공정 기술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됐으며, 향후 글로벌 산업계로의 ‘K-Machine’ 도약에 주춧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D 예산 복구, 2025년 24조8천억

    2024.06.28by 배종인 기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9회 심의회의’를 개최하고, 2025년도 주요 R&D 예산으로 올해 대비 대폭 증가한 약 24조8,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전기차 캐즘·미국 대선·차세대 전지, 배터리 업계 혼란 초래

    2024.06.26by 성유창 기자

    전기차 시장의 캐즘은 배터리 업계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LFP배터리 공급망의 중국 집중화와 다가오는 미국 대선 등으로 앞날도 뚜렷하지 않다.

  • 건전지, 다이소 ‘네오셀’ 가성비 으뜸

    2024.06.25by 배종인 기자

    대량으로 구매했을 때 개당 200원에 불과한 다이소의 네오셀 건전지가 가격 대비 지속시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싼 건전지가 오히려 제값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NextRise 2024 개최...880여개 라이징 스타트업 대거 참여

    2024.06.13by 권신혁 기자

    무역협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한국 스타트업 수출이 연평균 43.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스타트업들의 기술력과 잠재력이 점차 국가 산업 역량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스타트업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전시회가 열렸다.

  • [전자파와 AI(3)]-매트랩 엑스포, 전자파 분야 AI의 미래 비전 제시

    2024.06.12by 권신혁 기자

    AI 기술은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및 설계 도구에서 빠르게 융합되고 있다. 특히 차세대 통신과 전자파 분야에서 융합의 큰 가능성을 보이며 각계 전문가들이 방향성을 모색하고 전망을 내놓았다.

  • “자율주행·커넥티비티·전동화, 모델 기반 개발로 문화 바뀐다”

    2024.06.11by 배종인 기자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전동화 등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한 엔지니어들이 투입되며, 통합 설계가 어려워지고 있는 개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문서가 아니라 자동화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모델을 사용한 모델 기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 AI 지출, 생성형 19% 고작...예측·해석 AI 투자 81% 육박

    2024.06.10by 권신혁 기자

    인텔이 IDC에 의뢰해 ‘2024년 IDC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성숙도 연구’를 실시했다고 10일 발표했다. 한국을 포함한 아태지역 8개국(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을 대상으로 AI 성숙도와 관련해 조사했다.

  • CO2 배출 50% 절감 암모니아 엔진 가동

    2024.06.10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박철웅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한국선급,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군산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용 LNG-암모니아 혼소 엔진 연소 기술 실증을 전북 군산 한국선급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에서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