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호흡기 질환 조기진단 솔루션, 국내 최대 소아병원 임상 실증 성공
AI 기반 호흡기 질환 조기진단 솔루션이 임상에 성공해 스마트폰으로 폐렴을 조기진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 기업 노타(대표 채명수)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폐렴 조기진단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국내 최대 소아 전문병원인 성북 우리아이들병원에서 임상 실증을 완료했다.
이번 실증은 정확도 86% 이상을 기록하며 기술의 실효성을 입증했다.
폐렴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은 소아와 고령층에서 사망률 1위를 차지할 만큼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
반면에 기존 아날로그 청진 방식은 데이터 축적과 객관적 분석이 어려워 진단 표준화에 한계가 있었다.
노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호흡음 분석 기술을 개발, 의료 현장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노타는 성북 우리아이들병원과 협력해 소아청소년 호흡음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했다.
특히 10세 미만 소아의 호흡음 데이터는 기존에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이번 실증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하고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수집된 호흡음은 병원 진료 기록과 비교 분석해 정확한 이상 호흡음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청진기 소리가 아닌 신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음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기술로, 기존 의료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호흡기 질환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노타는 AI 모델에 경량화·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폰에서 바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호흡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격진료·가정용 모니터링·요양병원 등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향후 노타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 및 의료기관과 협력해 원격진료, 노인 요양시설, 만성질환자 관리 등으로 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에서도 빠르게 도입 가능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이번 실증은 노타가 기술기업을 넘어 의료 현장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병원 파트너십과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조기진단·원격 모니터링·예방 중심의 의료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