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별도 코딩 없이 클릭만으로 AI 만드는 개발툴 출시

데이터 과학자나 통계 지식이 없어도 AI를 학습할 데이터를 업로드한 후 클릭만 하면 최대 100여 개의 딥러닝 기반 AI 학습이 가능한 자동화 솔루션 CLICK AI가 출시됐다. 별도 코딩없이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고 딥러닝을 위한 고성능 GPU 서버 임대와 클라우드 ..

2020.02.19by 최인영 기자

image

델 테크놀로지스, 에지 컴퓨팅 시장 공략에 박차

에지 컴퓨팅을 통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이 기업의 비즈니스 자산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에지의 IT 인프라가 다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기업의 에지 컴퓨팅 환경의 구축과 운영을 신속하고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서버, 모듈형 데..

2020.02.19by 이수민 기자

image

TI "단일 지점 캘리브레이션 가능" 선형 서미스터 공개

TI는 기존 NTC 서미스터보다 정확도가 최대 50% 우수한 선형 서미스터 제품들을 자사의 온도 센싱 제품군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선형 서미스터 제품들은 80°C 이상의 온도에서도 정확한 열 측정이 가능하다. 선형성과 정확도가 우수하고 단일 지점 캘리브레이션이 ..

2020.02.18by 이수민 기자

image

하늘을 나는 미래 교통수단 PAV,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이슈는 무엇?

인공지능, 탑재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5G 통신, 클라우드 등 ICT 기술이 활용되는 드론은 최근 개인용 항공기 시장에서 성장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 Mobility Foresignts는 PAV 시장 가치가 오는 2025년이면 약 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2020.02.18by 최인영 기자

image

PAV, 완전 자율주행차량보다 상용화 시기 빠를 것

개인용 비행체, 즉 PAV는 과밀로 저하된 도심의 이동 효율성을 높일 미래 교통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PAV는 CES 2020에서 자율주행차량보다 더 큰 화재를 불러모았다. 부분 자율주행 기능이 상용화되면서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차량업계의 관심이 다소 식었고, 5단계 ..

2020.02.18by 이수민 기자

image

국토부, 드론 실명제로 국민 안전 확보에 나선다

오는 2021년부터는 최대이륙중량 2kg을 넘는 드론은 기체에 대한 신고를 해야 하며 250g을 넘는 드론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사전 온라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는 드론의 성능과 위험도를 기준으로 드론을 완구용 모형비행장치, 저위험 무인비행장치, 중위험 무인비행장..

2020.02.18by 최인영 기자

image

산업부, 소부장 자립 가속하고 '미래 먹거리' 찾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확실한 자립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과 함께한 2020년 정부업무보고에서 4개 핵심 주제 추진계획을 보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4개 핵심 주제는 ▲소재·부품·장비 확..

2020.02.18by 이수민 기자

image

18개 정부출연연, 미취업 석박사 연수취업 지원

18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2020년도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사업에 참여할 석박사 연수생 290명을 모집한다. 이 사업은 이공계 미취업 석박사가 정부출연(연) 및 국공립(연)에서 산업관련 연구개발 과제를 9개월 간 수행하면서 산업현장을 경험하고,..

2020.02.18by 이수민 기자

image

실시간 최적경로 따라 차량 배차되는 커뮤니티형 모빌리티 서비스 '셔클' 국내 첫 도입

현대차와 KSTM이 서울 은평뉴타운에서 커뮤니티형 모빌리티 서비스 셔클의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이용자가 반경 약 2km 서비스 지역 내에서 차량을 호출하면 대형승합차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최적경로를 따라 운행하며 승객들이 원하는 장소에서 태우고 내려주는 수요응답형 서비..

2020.02.17by 최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