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DAC 오차율 계산기로 적합한 전자 부품 선택하기

다양한 전자 부품들로 구성되는 전자 장비는 전체 신호 체인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높이려면, 개별 고리들의 오차를 계산하고 최소화해야 한다. ADI 정밀 DAC 오차율 계산기는 DAC와 연결되는 부품들 각각의 오차 분포를 계산하여 개발자가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2021.07.16by 이수민 기자

image

전기차 효율 개선, 파워트레인 시스템 통합에 달렸다

더 적은 부품으로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의 무게와 비용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인다. 파워트레인 최종 장치 구성 요소들을 통합하면 전력 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표준화와 모듈화가 가능해 설계와 조립을 간소..

2021.06.24by 이수민 기자

image

출력 전류, LDO 레귤레이터 병렬연결로 높일 수 있어

전원공급장치 설계자는 LDO 레귤레이터를 병렬로 연결해 한정된 공간에서도 공급 전류 용량을 늘리고, 열 발산을 완화할 수 있다. 이는 특정 부품의 온도 상승을 낮추며, 필요한 냉각 장치 크기와 수를 줄이게 한다. ADI ‘LT3033’ 제품처럼 LDO 레귤레이터가 출력..

2021.06.15by 이수민 기자

image

팬데믹에 대응하는 의료 기술, 어떻게 만들어지나?

오늘날 의료 산업에선 팬데믹에 대응하여 데이터 공유, 환자 추적, 비대면 AI 의료 기기를 통해 얻은 개별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단/치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매트랩 엑스포 2021 코리아에선 다양한 산업에서 매스웍스의 매트랩과 시뮬링크를 활용해 모델을 효율..

2021.06.02by 이수민 기자

image

​금융 업계 대상 보안 공격 "2020년에만 41억 건"

아카마이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금융 업계를 대상으로 한 41억 건 이상의 보안 공격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020년 관측된 총 1,930억 건의 크리덴셜 스터핑 보안 공격 중 34억 건 이상이 금융 업계를 대상으로 발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5% 이..

2021.05.21by 이수민 기자

image

무기물 기반의 늘어나는 반도체 나온다 "비용도 저렴"

접착형 헬스 모니터링 기기나, 접히고 말리는 디스플레이에는 유연한 반도체를 써야 한다. 유연 반도체 대부분은 유기물 기반인데, UNIST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무기물 기반의 유연 반도체를 개발했다. 고온고압 공정 자체를 잘 견디면서 내구성도 좋아 다양한 플렉서블 디바이..

2021.05.17by 이수민 기자

image

동기식 컨트롤러로 고성능 전원장치 설계 간소화하기

아나로그디바이스 ‘LTC7803’ 동기식 스텝다운 컨트롤러는 고성능 전원장치의 간편한 설계를 지원한다. N-채널 MOSFET 스위칭이 가능한 낮은 임피던스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통합해 전반적인 컨버터 비용은 낮췄고, 효율은 높였다. 대기 전류는 5mA이며, 40V에 이르..

2021.05.14by 이수민 기자

image

생기원-건국대, 수소생성 촉매 제작비용 50% 절감

생기원과 건국대는 펄스 레이저를 활용한 친환경 물리 공정으로 수소생성 촉매를 제조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환경에 해로운 화학 공정 없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펄스 레이저를 쏘아 탄소 이외의 이종 원소를 단일원자 형태로 첨가해 촉매를 만드는 방식이다.

2021.05.07by 이수민 기자

image

ToF 시스템의 거리 측정 및 물체 감지 정확도 높이려면

거리 측정과 물체 감지 기능을 구현하는 ToF 기술의 채택이 늘고 있다. ToF 시스템은 레이저 같은 변조 광원을 사용해서 빛을 쏜 후, 이 빛이 1개 또는 그 이상의 물체에 부딪혀서 되돌아오는 것을 센서나 카메라로 포착한다. 하지만 물체 및 환경 상태에 따라 측정 결..

2021.04.21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