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벤치마크 ‘2025 MAD Landscape’ 2년 연속 선정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 전문 기업 노타(대표 채명수)가 글로벌 AI 핵심 벤치마크에 엔비디아, 퀄컴, 삼성, 인텔과 이름을 나란히 했다.
노타는 글로벌 AI 산업의 핵심 벤치마크로 평가받는 ‘2025 MAD Landscape’에서 엣지 AI 부문에 2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MAD Landscape는 글로벌 VC 및 테크 업계가 AI·데이터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활용하는 대표 자료로, 올해는 AI가 클라우드 중심에서 디바이스·하드웨어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이 더욱 뚜렷해졌다는 점이 강조됐다.
노타는 이번 MAD Landscape에서 엔비디아, 퀄컴, 삼성, 인텔, 애플, AMD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함께 엣지 AI 부문에 등재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전 세계 1,150여 개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단 세 곳만 선정됐으며, 이는 노타가 온디바이스 AI 분야에서 글로벌 존재감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타의 독자 개발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는 AI 반도체부터 IoT 디바이스까지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모델을 효율적으로 압축·최적화·배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모델 크기를 최대 90% 이상 줄이면서도 정확도를 유지해 개발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다양한 산업의 AI 도입 속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
노타는 삼성전자, 퀄컴, 르네사스, 소니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력하며 엣지 인텔리전스 산업 전반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저사양 디바이스에서도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구동할 수 있는 최적화 기술을 선보이며 제조, 가전, IoT 등 디바이스 중심 산업으로 온디바이스 AI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노타는 정부의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에도 정예팀으로 참여하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노타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채명수 대표는 “CB Insights AI 100에 이어 MAD Landscape 엣지 AI 부문에도 연달아 선정된 것은 노타의 기술 혁신성이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독보적인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모빌리티, 로봇, 가전 등 산업 전반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