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옴, CAN FD 고품질 통신 지원 ‘TVS 다이오드’ 출시

    2024.12.18by 배종인 기자

    로옴(ROHM)이 자율 주행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ADAS)의 발전에 따라 수요가 증대하는 고속 자동차 통신 시스템용으로 CAN FD(CAN with Flexible Data rate) 대응 쌍방향 TVS(ESD 보호) 다이오드 ‘ESDCANxx 시리즈’를 개발했다.

  • [EMI/EMC 명사(名士) 대담⑤] 박학병 대표, “EM엔지니어, LLM 활용성 주목할 것”

    2024.12.18by 권신혁 기자

    [편집자주] 전자파 분야에서 AI 융합 발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AI 기술이 전 산업 분야에 융합되기 시작하면서 EMI/EMC 분야에서도 AI 기술 도입 논의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EM엔지니어와 미래 기술자들을 위한 AI 활용과 교육이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이번 ‘EMI/EMC 명사(名士) 대담’에서는 전자파와 AI 융합을 주제로 관련 전문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최근 이엠엑스아이(EMxAI)를 통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박학병 대표를 만나 EMI/EMC 전망과 AI 융합 추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 [CES 2025]일렉트로비트, 클라우드부터 콕핏까지 SDV 로드맵 공개

    2024.12.18by 배종인 기자

    일렉트로비트(Elektrobit)가 CES 2025에서 클라우드부터 콕핏까지 오픈 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로드맵을 공개하며,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제작 솔루션 기술을 세계에 알린다.

  •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완성품 인증시험 국내서 한다

    2024.12.18by 배종인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 풍력핵심기술연구센터(센터장 박지상 책임연구원)가 17일 전라북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풍력 소재·부품 시험동’을 준공하며, 풍력 발전기의 소재부터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개발까지 풍력 분야 전주기적 종합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시설이 건설돼 향후 국내 풍력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온세미, 덴소와 자동차 기술 지원 위한 협력 강화

    2024.12.17by 권신혁 기자

    온세미가 자동차 부품 우수 업체인 덴소(DENSO CORPORATION)와 자율주행을 비롯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기술 지원을 위해 장기적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고 17일 발표했다.

  • ​마이크로칩, 소형 CAN FD SBC 공개...공간 제약에 적합

    2024.12.17by 권신혁 기자

    자동차 및 산업 시장에서 커넥티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면서 더 높은 대역폭, 더 낮은 지연 시간, 더욱 강화된 보안을 갖춘 유선 커넥티비티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하고 처리하려면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통신 네트워킹 솔루션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2025년 인프라 트렌드, ‘프라이빗 AI’ ‘엣지’ ‘하이브리드’

    2024.12.17by 권신혁 기자

    에퀴닉스가 16일 2025년 한국 비즈니스와 기술 분야를 주도할 5가지 기술 인프라 트렌드를 발표했다. 에퀴닉스는 디지털 비즈니스의 미래를 형성할 5가지 기술 트렌드로 △프라이빗 AI △사이버 보안 △엣지 컴퓨팅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고성능 데이터센터 서비스를 제시했다.

  • 한자연, 제15회 자산어보 2024년도 모빌리티 산업 결산

    2024.12.17by 배종인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원장 나승식)이 16일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결산과 전망 : 미래 모빌리티 발전을 위한 도전과 전략(부제)’을 주제로 제15회 자산어보 행사를 개최했다.

  • ​中, 트럼프 무역전쟁 맞대응 ‘내수경기 부양’...증시 위기와 기회 포인트

    2024.12.16by 권신혁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제재와 관세 정책으로 대외 통상 환경에 급변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트럼프 2기에 대응해 내수경기 부양책을 강하게 드라이빙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