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물에서도 리튬이온 능가하는 수계 배터리 소재 개발돼​

​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물에서 작동하며 급속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전도성이 금속 산화물보다 100배 높은 다가의 금속 황화물을 수계 배터리의 양극, 음극의 전극으로 활용해 고용량, 고출력 성능을 구현했다. 현재 사용되는..

2021.02.26by 이수민 기자

image

NXP, CC-Link IE TSN 프로토콜 지원 프로세서 공개

NXP가 포트 사와 협력하여 CC-Link IE TSN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산업 자동화용 TSN 솔루션을 발표했다. NXP는 LS1028A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i.MX RT1170 크로스오버 MCU에 CC-Link IE TSN Layer-2 스택을 구현했고,..

2021.02.26by 이수민 기자

image

LG유플러스, 남동산단에 스마트 에너지플랫폼 구축

LG유플러스가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 스마트 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한다. 그 첫 단계로 산업단지 공장 에너지 관리시스템(CEMS)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CEMS는 입주 기업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주 기업은 서버 등 별도의 ..

2021.02.25by 명세환 기자

image

키옥시아-WD, 162단 낸드 개발 "적층 경쟁 후끈"

키옥시아와 WD가 6세대 162단 3D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발표된 6세대 3D 플래시 메모리는 기존 8스태거 구조 메모리 홀 어레이보다 고도화된 아키텍처와 5세대 대비 10% 증가한 측면 셀 어레이 밀도가 특징이다. 발전한 측면 미세화 기술과 162..

2021.02.25by 이수민 기자

image

마이크로칩, 우주용 120V DC-DC 컨버터 제품군 확장

마이크로칩이 업계에서 유일하게 비 하이브리드 우주산업 등급을 받은 SA50-120 DC-DC 파워 컨버터 제품군에 상용 기성품(COTS) 기술 기반 신규 유닛 9개를 추가했다. SA50-120S 유닛은 3.3/5/12/15/28V 출력으로 제공된다. SA50-120T ..

2021.02.25by 강정규 기자

image

알아서 일하는 자율 시스템 구축, 편하게 할 순 없을까

로보틱스 및 자율 시스템 기술의 발달로 오늘날 로봇은 기존의 로봇이 할 수 없었던 보다 높은 차원의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 지식의 부재와 한정된 구축 시간에 따라, 진보한 자율 기술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는 것에는 애로가 따른다. 매스웍스는 자율 시스템 개발에 필..

2021.02.25by 이수민 기자

image

맥심, IoT·센서 정확도 높이는 아날로그 IC 3종 출시

엔지니어는 IoT, 배터리 동작 센서를 설계할 때 긴 배터리 수명으로 실제 전압과 물리력,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비용 최소화를 위해 센서는 최초 측정 시 정밀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IoT에서 온습도 및 기계적 오용..

2021.02.25by 강정규 기자

image

빅데이터 플랫폼 6개 추가 개소로 데이터 댐 늘어나

과기정통부와 지능정보원이 ▲농식품 ▲디지털 산업혁신 ▲라이프로그 ▲소방안전 ▲스마트치안 ▲해양수산 등 6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의 서비스를 정식으로 개시한다. 신규 플랫폼과 이미 구축된 △금융 △환경 △문화 △교통 △헬스케어 △유통·소비 △통신 △중소기업 △지역경제 ..

2021.02.24by 이수민 기자

image

[인터뷰] "DC/DC 컨버터 설계, 전기적 특성 파악 먼저"

PCB 위의 디바이스 대부분은 DC로만 동작하며, 디바이스마다 고유의 동작전압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전압 정밀도 요구도 다르다. 디바이스 오동작과 특성 열화 등을 막기 위해서는 DC/DC 컨버터가 필요하다. 전원설계 엔지니어는 DC/DC 컨버터의 로드 레귤레이션, 인..

2021.02.24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