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KT 양자암호통신 인터페이스 기술, TTA 표준 채택

KT가 TTA에 제안한 이종 양자키 분배(QKD)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이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내 표준안으로 최종 채택됐다. 해당 모델은 QKD 네트워크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은 양자암호 키를 분배하는 장치와 관..

2021.01.26by 이수민 기자

image

반도체 기업 거래, 지난해 역대 최대 "차세대 반도체 경쟁, 합쳐야 이긴다"

2020년 반도체 분야 기업 거래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및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미래 준비에 나서는 반도체 업계 투자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빠른 시장 변화로 차세대 반도체 수요도 함께 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 시장..

2021.01.25by 이수민 기자

image

LG이노텍, 정확도 높인 차량용 디지털 키 모듈 개발

디지털 키 모듈은 차량에 탑재해 자동차와 스마트폰 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부품으로, 스마트폰으로 차 문을 열고 잠그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세대 자동차 키다. LG이노텍은 위치 인식 정확도와 보안성을 높인 차량용 ‘디지털 키(Digital Ke..

2021.01.25by 명세환 기자

image

U+, 기업용 광 전송 백본망 구축 "비대면 시대 대응"

LG유플러스가 최신 광 전송 기술 기반의 기업 전용 전국 백본망을 새로 구축했다. 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美시 에나 사의 차세대 광 전송 장비인 ROADM을 도입하고, 전국 28개 주요 도시를 직접 상호 연결하는 그물망 방식으로 구축하여, 저지연과 경로 다원화를 달성, ..

2021.01.24by 이수민 기자

image

파운드리 공정 경쟁, 'EUV' 이어 3D "GAA" 불붙는다

현재 파운드리 경쟁은 EUV 기술을 중심으로 전개 중이다. 파운드리 점유율 1위인 TSMC와 2위인 삼성전자만이 EUV 공정을 도입했기에 두 업체로 수요가 몰리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3nm에 3차원 구조인 GAA 기술 기반의 MBCFET을 도입할 예정이다. TSMC도..

2021.01.23by 이수민 기자

image

4번째 국산연구장비활용랩, 대전 KRISS 본원에 개소

과기정통부가 국산 연구장비의 신뢰도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우수 국산 연구장비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국산연구장비활용랩'을 1월 21일, 대전의 표준연 본원에 개소했다. 이번에 개소한 국산연구장비활용랩은 연구장비산업 혁신성장전략 후속조치이며, 국산 연구장비 활용을 ..

2021.01.22by 강정규 기자

image

재난현장 굴착기 대체할 유압식 '웨어러블 조종' 로봇팔

생기원이 재난현장에서 소방관들의 안전을 도모하며, 어렵고 복잡한 구조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재난대응 특수목적 기계를 개발했다. 개발된 장비는 4개의 무한궤도 하부모듈 위에 사람의 양팔 역할을 하는 6m 길이의 작업기 한 쌍이 달린 형태다.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2021.01.22by 명세환 기자

image

중기부, 올해내로 스마트공장 6천개 새로 보급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총 4,376억 원을 투입하는 2021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모집하는 통합 공고를 냈다. 이번 공고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4,002억 원), 로봇 활용 제조혁신(181억 원) 등 총 7개 내역 사업으로 ..

2021.01.22by 이수민 기자

image

삼성전자, 5G 이동통신 장비 국제 보안 인증 CC 획득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장비에 대해 국제 공통평가기준(CC) 인증을 획득했다. CC 인증은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는 ISO 15408 국제 기준으로, 세계 각국에서 관리하는 보안성 평가 기준 중 공통적인 평가 항목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해 획득할 수 있다.

2021.01.22by 이수민 기자